[제13회 세계해양포럼] 첫 정규세션 ‘해운·항만의 축적’ “정기선사 지속적 이익 창출 어려워져… 규모의 경제 변화 불가피”
2019-10-31
제13회 세계해양포럼(WOF) 첫 정규세션인 ‘해운·항만의 축적’은 글로벌 경쟁 격화와 4차산업혁명 등으로 변화 기로에 선 업계 현실을 반영하듯 오전 10시부터 열린 행사인 데도 마련한 좌석이 모자라 보조 의자를 수십 개 사용해야 할 정도로 뜨거운 반응이 나타났다. 토론 시간도 예정보다 30분을 훌쩍 넘겼다.
좌석 모자랄 정도로 뜨거운 반응 운항 효율화 위해 ‘금융선주’ 실현해야 선박 운영·물류망 연구에 정부 지원
첫 발제자로 나선 양창호 인천대 동북아물류대학원 교수는 2050년 세계 해운물류 시장이 어떻게 변화할지 기술변화의 관점에서 전망했다.정기선사의 경우 지속가능한 이익을 만들기 어려운 구조로 산업이 바뀌고 있다고 양 교수는 진단했다. 규모의 경제, 집적화의 효과에 대해 근원적인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선박이 커지면서 선사는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지만, 그에 맞춰 항만은 더 많은 시설 비용을 투자해야 해 총량으로는 규모의 경제 효과가 미미하게 된다는 뜻이다.
이런 점 때문에 30년 뒤 해운사는 누가 경영하게 될지 알 수 없다는 게 양 교수의 전망이다. 기존 해운선사뿐 아니라 포워더, 정보기술(IT) 기업, 터미널 운영사 등 누구나 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해운업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해운산업 재건을 위한 한국해양진흥공사의 역할’을 발제한 조규열 해양진흥공사 정책지원본부장은 해운재건 5개년 계획에 따라 공사가 진행하는 다양한 해운선사 지원 사업과 국내외 물류망 구축사업을 소개했다. 조 본부장은 해운금융 관점에서 남은 이슈를 △선박 금융에 택스 리스(tax lease) 제도 활용 △채권 보증 △금융 선주 3가지로 꼽았다. 택스 리스는 이익 나는 금융권과 기업들이 회계에서 필요로 하는 대규모 비용을 모기업이나 투자자와 공유함으로써 영국 프랑스 일본 등에서 선박 금융을 위해 활발하게 활용하는 기법이다. 참여하는 기업들이 얻는 세무상 혜택이 10~15%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 조 본부장은 국내 수출입 화물을 국적선이 운송하는 국적선 적취율이 여전히 낮은 우리 현실을 개선할 대안으로 택스 리스 활용을 제안했다. 그는 “국내 수출입 화물의 국적선 적취율을 높이려면 화주에게도 뭔가 이익이 돌아가야 하는데 화주와 선주가 선박금융에 공동 투자해 화주들과 세무 혜택을 공유하면 화주에게도 실질적 이익이 되므로 자신들의 화물을 국적선에 싣지 않을 이유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밖에 기존 대출 보증 업무 위주에서 채권 보증 등으로 선박금융 지원 대상을 좀 더 다양화하고, 금융과 선사가 각자의 장점을 살려 금융이 시황 분석을 통해 저렴한 용선료 구조를 만들고 선사는 운항을 효율화하는 방식으로 협력하는 ‘금융선주’ 모델을 실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남기찬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동북아 무역구조의 변화와 부산항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남 사장은 미·중 무역분쟁, 한·일 무역갈등, 중국의 외국인투자 규제 완화(올해 6월) 등이 동북아 교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부산항 물동량은 이런 변화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 2025년 환적물량 1500만TEU, 2030년 1900만TEU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하고, 미국 중국 일본 물량이 주춤한 대신 동남아 화물이 늘어나 교역 상대국이 다변화한다고 봤다.
향후 물동량 증가에 대비한 부산항의 대응으로 신항의 경우 터미널 운영사를 3~4개로 통합해 부두간 환적을 줄이고, 물류정보시스템에 블록체인기술을 도입해 시장 참여자들이 동시에 투명한 정보를 제공받도록 하겠다고 남 사장은 밝혔다. 신북방, 신남방 경제정책에 조응해 선사, 물류기업과 함께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국내 기업의 물류 활동을 돕겠다고 밝혔다.
이어 김인현 고려대 교수가 좌장을 맡은 토론에는 금창원 장금상선 사장과 황진회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해사연구본부장이 참여했다.
해운기업들이 선박 운영과 물류망을 최적화하도록 연구개발을 정부가 도와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 발제자와 토론자들은 선사가 주도적으로 연구개발을 기획하고, 공공기관이나 공기업, 대학 등이 지원하는 협력 체제 구축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원문 :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9103119270963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