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해운, 항만, 조선, 수산, 크루즈, 지수, 해양인문학 등
해양의 모든 것(A to Z)을 살펴 볼 수 있는 세션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연사 라인업

Program
占쎈똻堉뉛옙類ㅼ퐠 占쎈똻堉?占쎌꼷沅??⑥눛釉경묾怨쀫떊
일시 2023. 10. 24. (占쏙옙) 10:00 ~ 12:00
장소 嚥∽옙?뀐옙紐낅€??븝옙占쏙옙 占싼됤봺占썬끋源?癰귥눖竊?A

[좌장]

김규한

해양과학기술협의회
회장

김규한 교수(1962년생)은 1993년 일본 오사카 대학에서 해안해양공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리고 일본 테트라포트 응용수리연구소에서 근무하였고, 가톨릭관동대학교에서 30년간 후학 양성에 노력해왔다. 2005년에 정부 지원을 받아서 Smart Waterfront and Coastal Research Center를 설립하고 현재까지 다양한 실험적·이론적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김규한 교수는 가톨릭관동대학교 기술지주회사 대표 등 대학의 연구 및 산학협력을 총괄하고 있고, 한국해안해양공학회 회장 및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회장을 맡고 있다. 아울러 해양수산부 정책자문위원회 항만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다수의 정부 기구에서 자문·심의 위원으로서 활동하고 있다.

[발제]

존 에버렛 나이버그

미국 국립해양대기국
부국장

존 나이버그는 2010부터 2020년까지 미국 해양대기청(NOAA) 해도국(Marine Chart Division) 국장 및 차장으로 재직하며, 해도의 현대화 및 디지털화를 통해 종이 해도를 전자 해도로 전환하는 해안조사실(Coast Survey)의 사업을 주도했다. 해도국에 근무하기 이전에는, 12년간 해안조사실 항해서비스국(Navigation Services Division)에 재직하며 코스트 파일럿(Coast Pilot)의 지도 제작 담당자를 거쳐 국장까지 역임했으며 이 과정에서 연구 선박 베이 하이드로그래퍼 2호(Bay Hydrographer II)의 조달을 관리하고 미국 코스트 파일럿의 생산 시스템 현대화 작업을 이끌었다. 현재는 국제수로기구의 기술이사로 활동 중이다. 플로리다대학교 지리학 학사, 메릴랜드대학교 국제경영학 석사, 조지메이슨대학교 지리정보과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발제]

이언경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본부장

이언경(1970년생) 본부장은 고려대학교에서 공급망관리 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서울연구원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연구원, LG CNS 엔트루컨설팅의 컨설턴트를 거쳐 현재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물류해사산업연구본부 본부장으로 재직중이다. 약 20년간 스마트항만물류, 식품콜드체인 및 공급망 혁신, 미래 신기술 적용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언경 본부장은 현재 해양수산부 중앙항만정책심의위원회, 부산시와 경상남도 물류정책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물류에 관심이 있는 일반 독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물류트렌드 책을 기획하여 매년 시리즈로 출간해오고 있습니다.

[발제]

서경석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연구위원

서경석박사(1968년생)는 미국 북애리조나대학에서 해양 와편모조류 세포 구조 연구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2000년), 텍사스 A&M 대학 생체시계 연구센터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한 바 있다. 2006년부터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에서 해양바이오정책지원센터장, 정책기획본부장, 창업사업화지원단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연구개발사업 기획업무를 전담하면서 신규 R&D 사업을 발굴하는 일을 하고 있다. 서경석 박사는 현재 한국환경생물학회 부회장, 한국해양정책학회 부회장이며, 혁신도전프로젝트 심의위원, 디오션 편집위원 등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발제]

이기택

한국해양한림원 / 포항공과대학교 환경공학부
원장 / 교수

이기택 교수(1965년생)는 마이애미대학교에서 해양학을(1996 년) 전공하였다. 포항공과대학교 환경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해양한림원의 초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2019년 미국지구물리학회 석학회원(AGU Fellow : 총 회원 중 매년 상위 0.1% 선정, 한국과학자 최초)으로 선정되었다.

[토론]

배재류

오션플랫폼
대표

배재류대표는 1961년생으로 서울대학교에서 조선해양공학을 전공했다. 대우조선해양에서 35년간 재직하면서 선박 기본설계 업무와 기술전략과 기술경영 업무를 수행하였다. 최근에는 소형선박을 친환경선박으로 개조하는 기술개발을 하고 있다.

[토론]

신경훈

한양대학교
교수

신경훈교수(1965년생)는 한양대학교와 동대학원에서 지구해양과학을(1990년), 일본 나고야대 대학원에서 대기수권과학을(1996년), 홋카이도대학 대학원에서 지구환경과학을(1999년) 전공하였다. 일본해양과학기술센터 지구프론티어연구시스템에서 근무하며, 미국 알래스카대학 국제북극권연구센터 방문 연구로 기후변화에 의한 북극권 생태환경변화를 연구하였다. 2003년 한양대학교에 부임하여 해양생태환경진단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여 왔으며 현재 해양융합공학과 정교수로 동 대학 해양대기과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하고 있다. 활발한 학술 활동을 통해 국제학술지(SCI/E)에 202편, 국내 학술지 50편을 게재 하였으며, 수상실적으로는 HYU 학술상, 우수연구자상, 강의우수교수상, 여천생태학상, 과학기술총연합회 우수논문상,외 다수의 학술상 및 논문상에 선정되었다

[토론]

최상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부원장

최상희 부원장은 고려대 토목환경공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도시계획 석사, 고려대 경영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1995년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입사이후 항만과 물류부문의 개발, 운영 및 기술 등 관련 정책개발, R&D 등 다양한 국가적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특히 고효율 · 지능형 항만시스템을 위한 혁신 기술, 차세대 항만 물류, 공급망 관리, 항만 친환경 시스템 등을 연구하였다. 현재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해양, 수산, 해운, 항만, 물류부문의 연구를 관장하는 연구부원장을 맡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회 전문위원, 국가물류부문 정책위원회 위원 등을 수행하고 있다

Program
媛쒕쭑?앷낵 湲곗“ 釉붾(?뚰겕?몃?
일시 2023. 10. 24 (?? 15:30 ~ 17:30
장소 濡?뜲?명뀛 遺€???щ━?ㅽ깉 蹂쇰8 BC

[기조연설]

제러미 리프킨

미국 경제동향연구재단 (FOET)
이사장

제러미 리프킨 (Jeremy Rifkin)은 미국의 미래학자, 작가, 경제학자이다. 20년간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의 고문을 지내며 신성장 장기 계획의 청사진을 그렸다. 현재 워싱턴 경제동향연구재단의 설립자이자 이사장이다. 콜로라도 주의 덴버에서 태어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와튼비즈니스스쿨에서 경제학 학사로 졸업하였다. 리프킨 저서에서 나타나는 문명비판은 환경철학자로서의 면모가 두드러진다. 문명에 대한 접근 방식 자체가 환경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엔트로피, 육식에 대한 비판이나 생명 현상에 대한 관심도 매우 크다. 생명공학이 21세기에 가장 크고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학문이 될 것이라는 그의 예측도 이런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 이러한 입각점 때문에 그는 반문명론자들 사이에서 높은 지지를 받고 있다.

[좌장]

장제국

동서대학교
총장

장제국 총장(1964년생)은 미국 조지워싱턴대학에서 정치학 학,석사를(1989), 미국 시라큐스로스쿨에서 법학박사(1993)를 일본 게이오대학에서 정치학박사(2001)를 취득하였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 직무대행,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회장, 교육부 한중일 고등교육교류 전문가위원회 위원, 부산·울산·경남·제주지역대학교 총장협의회 회장, 한국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대통령소속 사회통합위원회 위원 및 부산지역협의회 의장 등을 역임하였다. 장제국 총장은 부산국제자매우호도시협의회 공동위원장, (사)자연의 권리찾기 이사장, 현대일본학회 회장, 주부산헝가리명예영사, 아시아대학총장포럼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Program
?댁뼇?꾩떆?ㅽ듃?뚰겕 ?숇턿??援?꼍媛??꾩옄?곴굅??臾쇰쪟?꾩떆 媛??ㅽ듃?뚰궧
일시 2023. 10. 25. (?? 10:00 ~ 12:00
장소 濡?뜲?명뀛 遺€?

[좌장]

정현민

국립부경대학교
교수

정현민 교수(1961년생)는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1985년, 학사), 캐나다 Carleton 대학(Ottawa)에서 발전행정학(1995, 석사), 미국 미시간주립대학(MSU) 객원연구원으로 도시계획학을 공부하였다. 1986년 행정고시를 통하여 정부에 입직하여, 30여년간 부산시(기획관, 재정관, 미래전략본부장, 해양농수산국장, 경제산업본부장, 행정부시장)과 중앙정부(행자부 지방행정정책관, 대통령소속 자치위 지방분권국장과 균형위 지역혁신국장)에서 근무하였다. 2019년 공직을 퇴직 후 중국의 최대 항만도시인 절강성 닝보대학에서 초빙교수로 재직하였으며, 2020년 3월부터 현재까지 국립부경대학교수(산학협력, 과학기술정책)로 재직하면서 글로벌 지식경제 네트워크시대에 지역혁신이 성공하기 위한 지방분권과 내발적 발전전략, 지역자산의 합리성과 디자인적 전략, 그리고 지역혁신의 새로운 리더십 모델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발제]

닝보시의 항만물류와 글로벌 무역의 동반성장 추진 전망

왕샤오징

닝보시 발전개혁 위원회 해양경제 발전처
부처장

왕 샤오징 박사는 현재 닝보시 개발 및 개혁 위원회에서 근무하며, 닝보시의 해양 경제 전략 계획을 책임지고 있다. 동시에 그는 닝보 대학의 석사 과정 강사직도 겸하고 있다. 이전에는 닝보시 해양연구소 전략 계획부의 디렉터로 근무했었고, 닝보시 우수한 인재로 선정되기도 했다. 그는 닝보의 해양 경제에 관한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으며, "중국 경영 과학", "중국 시스템 관리 학회지", "중국 시스템 공학" 등의 학술지에 20편 이상의 연구 논문을 게재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발제]

한중일 국경간 전자상거래 물류채널 구축을 위한 부산-닝보 페리항로 개설

허윤수

부산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허윤수 부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과거 기획조정실장, 해양관광연구실장 등을 역임했다. 2000년부터 2001년까지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의 전임연구원으로 근무하였고, 그 이후 부산연구원에서 근무하고 있다. 부산의 항만물류 발전방안, 항만 및 물류와 관련된 도시계획, 부산경제 활성화를 위한 부산시 해양산업 육성 계획 등을 수립하였다. 또한, 북극자원 개발 및 항로 등과 관련한 부산의 북극정책을 연구하고 있다. 부산의 해양산업, 부산항 및 물류 활성화 등을 위한 많은 논문과 연구보고서를 발표하였다. 한국해양대학교물류시스템공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1969년 한국에서 태어났다.

[토론]

김병기

부산광역시 해양농수산국
국장

김병기 부산시 해양농수산국 국장은 부산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라큐스 대학원 공공정책학 석사를 거쳐 부경대학교 과학기술정책학과 박사과정 수료했다. 주 싱가포르대사관 사건사고 영사 겸 1등 서기관, 부산광역시 관광진흥과장, 기획재정부 예산실 세월호 예산 담당과장 (3급, 부이사관), 부산광역시 문화관광국장직을 맡았으며, 부산광역시 신성장산업국장 당시에는 R&D 및 신산업, 스마트시티, 블록체인, 창업, 금융 정책 총괄했다. 이후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투자유치본부장,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구청장을 거쳤다.

[토론]

예롱종

닝보시 외사판공실
서기

예롱종 닝보시 외사판공실 서기는 항저우 대학에서 영어 학사 학위를, 웨스트민스터 대학에서 외교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타이저우 행정부 외교사무국에서 통역사를 거쳐, 닝보시 외사판공실 국장, 부국장을 맡은 바 있다. 2016년 12월부터 그는 닝보시 외사판공실 Director General 로 재직 중이며, 현재는 닝보시 외사판공실 당 서기로도 활동하고 있다.

[토론]

왕스잉

닝보시 글로벌 전자상거래 촉진센터
주임

왕스잉 주임은 닝보 대학에서 2005년에 재무회계 및 경영학을 공부하고, 2016년에 닝보대학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닝보시 상무국에서 11년 이상 근무해왔으며, 외국 무역 관리, 국경 넘어 전자상거래 및 무역 연구를 중점에 두고 있다. 현재 그녀는 닝보시 상무국에 소속된 닝보시 글로벌 전자상거래 촉진센터의 총괄로 일하고 있으며, 국경을 넘어 전자상거래 플랫폼 개발, 전자상거래 기업의 발전 지원, 전자상거래 인재 양성 체계 구축 등에 중점을 두고 활동하고 있다.

[토론]

주언쥔

닝보 저우산항 주식유한공사 업무부
부부장

주언쥔 부부장은 1994년에 중국 저장 기술 대학에서 통신 공학을 공부하고, 2003년에 상해 해상 대학에서 운송학을 공부했다. 그는 닝보항만 정보 통신 주식회사와 닝보항만 국제 물류 주식회사에서 일한 경력이 있고, 닝보 저우산항 주식유한공사 업무부에서 근무하고 있다. 그는 15년 이상에 걸쳐 항만 컨테이너 물류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항만 컨테이너 물류, 다중 모달 운송 등과 관련한 연구 및 실무에 중점을 두고 있다.

[토론]

곽인섭

㈜팬스타라인닷컴
대표이사

곽인섭 팬스타라인닷컴 대표는 1956년 경남 창녕 출생으로 부산고와 부산대를 졸업하고 미국 오하이오대학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행정고시 25회로 공직에 입문해 전 해양수산부 부산해양수산청장, 물류항만실장, 해양환경공단 이사장, 한중훼리 대표 등을 역임했다. 팬스타BNGD 대표를 맡아 그룹 항운 사업을 총괄해왔으며 이어 지난 2023년 4월부터 (주)팬스타라인닷컴 대표이사직을 맡고 있다.

[토론]

최상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부원장

최상희 부원장은 고려대 토목환경공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도시계획 석사, 고려대 경영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1995년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입사이후 항만과 물류부문의 개발, 운영 및 기술 등 관련 정책개발, R&D 등 다양한 국가적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특히 고효율 · 지능형 항만시스템을 위한 혁신 기술, 차세대 항만 물류, 공급망 관리, 항만 친환경 시스템 등을 연구하였다. 현재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해양, 수산, 해운, 항만, 물류부문의 연구를 관장하는 연구부원장을 맡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회 전문위원, 국가물류부문 정책위원회 위원 등을 수행하고 있다

Program
해양금융 Challenge for the future maritime finance
일시 2023. 10. 25. (수) 10:00 ~ 12:00
장소 롯데호텔 부산 크리스탈 볼룸 A

[좌장]

성낙주

한국해양진흥공사
본부장

성낙주 본부장(1963년생)은 성균관대학교에서 영어영문학(1988 학사) 및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국제경영학 (2003 석사)을 전공하였고 현재 한국해양대에서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며 1988년 한국산업은행에 입행한 후 33년여 기간 동안 아일랜드 현지법인 근무 기업금융팀장 항공기·선박금융팀장 해외사업단장 뉴욕지점장 등 국제금융업무를 위주로한 다양한 업무를 역임·수행 하였다 현재는 한국 해운산업에 대한 지원 및 경쟁력 강화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한국해양진흥공사에서 사업운영 본부장으로 재직중에 있으며 저서는 2020 년 5 월 출간된 '항공기금융' (박영사간)이 있다

[발제]

제르브란트 브로이곱

싱가폴 ING 은행
전무이사

제르브란트 브로이곱은 ING 은행 전무이사 겸 아태지역 운송 및 물류 부문 책임자이다. 아태지역에서 ING 은행의 자동차, 항공, 컨테이너 및 물류, 육상운송, 해운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2020년 아태지역 책임자로 부임하기 이전에는 같은 부서의 이사로 재직하면서 ING 은행의 아태지역 물류 뱅킹 업무와 일본, 대만, 싱가포르, 호주 등지의 선박 및 컨테이너 금융 거래 관련 대출실행 업무를 담당했으며, 2009년 싱가포르 지사에 부임했다. 2009년 싱가포르 지사로 전근하기 이전에는 런던 (2002년)과 로테르담(2000년)에서 ING 은행 자산 기반 금융팀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당시 다양한 구조화 선박 금융 거래를 담당했으며 특히 미주, 러시아, LNG 시장을 중점적으로 담당했다. 1999년 ING 은행 네덜란드 지사에서 관리 부문 수습사원으로 입사했으며, 입사 1년 차에는 사내의 다양한 부서에서 근무했다. 1998년 네덜란드 로테르담 소재 에라스무스 대학교에서 경영경제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발제]

마크 텡

Credit Agricole 기업투자은행
전무이사

마크 텡은 2000년부터 근무하고 있는 Credit Agricole 기업투자은행의 해운 및 역외 팀의 전무이사이다. 그는 주로 한국 시장에 중점을 두고 아시아 해운 회사들의 선박 금융 활동을 다루는 책임을 맡고 있다. 마크 텡은 한국 시장에서 20여 년 동안 SIC 제도, ECA 담보 대출, 한국 해운 펀드 및 ECA 담보 채권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한국 선박 금융 거래를 구조화하기 시작했다. 마크 텡은 펜실베니아 대학에서 와튼 스쿨에서 경제학 학사, 국제학 학사로 졸업했다.

[발제]

전기환

한국해양진흥공사
단장

전기환 부장(1970년생)은 한국해양대학교에서 해사수송과학을(1993년), 경희대학교에서 경영학을(1998년),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재무관리) 석사(2000), 경영학(재무관리) 박사를(2005) 전공하였다. 신한투자증권, 하나투자증권, 한화생명, 현대해상화재보험, 한국해양진흥공사 등에서 20여년간 근무하였으며, 리스크관리, 재무관리, 사업전략 등의 업무를 주로 수행했다. 현재 근무중인 한국해양진흥공사는 대한민국 국적선사 등에 대한 투자, 보증 등 금융지원과 해운정보제공 및 컨설팅 등 경쟁력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전기환 부장은 현재 한국해양진흥공사가 대주주로 있는 HMM의 경영지원단장을 맡고 있으며, CFA 및 FRM charter holder 이다

[토론]

정정욱

하나증권
본부장

정정욱(1972년생)은 한양대학교 정책학과와 Univ. Of Southern California J.D(통신과정) 및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였으며, 한양대학교 도시계획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대우증권에서 2001년부터 IB업무를 시작하여 신한투자증권을 거쳐 현재 하나증권 IB그룹 프로젝트금융본부장으로 재직중이다 다수의 부동산투자회사(리츠)와 동북아시리즈 선박펀드 설정관련 실무경험을 시작으로 기업금융, 선박/항공기/부동산/인프라 등 다양한 대체투자금융 업무를 현재까지 수행하고 있다. 과거 LH한국토지주택공사 자문위원, SH서울주택도시공사 산하 서울투자운용 사외이사, 서울시 부동산금융분과 자문위원 등의 이력과 현재, 한앤컴퍼니와 Co-GP로서 에이치라인해운의 사외이사로서 해운회사의 성장 경영에도 참여하고 있다.

[토론]

이승철

한국해양대학교 / ㈜한국해양자산거래
겸임교수 / 부사장

이승철 한국해양대학교 겸임교수(1967년생) 겸 ㈜한국해양자산거래 부사장은 한국해양대학교에서 항해학(학사, 1989년), 런던대에서 해운·무역·금융학(석사, 2004년), 그리고 한국해양대학교에서 해운경영학(박사과정, 2023년)을 공부하였습니다. SK해운에서 30년을 근무하면서 항해사, 전략 및 IT 기획, 선박투자, 탱커영업, 선원인사노무 및 선대운영 업무를 수행하였고 임원으로 퇴임하였다. 현재는 ㈜한국해양자산거래에서 토큰증권을 활용한 선박금융 및 해양자산 거래플랫폼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토론]

석흔욱

KSF 선박금융
대표

석 흔욱 대표이사는 연세대학교에서 행정학을 (1988년)을 한국해양대학교 해운금융대학원에서 선박금융을 (2018년)을 전공하였다. SK해운에서 14년간 SNP및 선박금융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2003년 KSF선박금융㈜를 설립하여 현재까지 근무하고 있음 KSF선박금융㈜ 대표이사는 2020년에 선임되었음

Program
SMR 선박 새로운 에너지 패러다임, 해양용 SMR
일시 2023. 10. 25. (수) 10:00 ~ 12:00
장소 롯데호텔 부산 크리스탈 볼룸 BC

[좌장]

임인철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원장

임인철 박사는 원자력공학 전공자로서 서울대학교에서 학사(1984) 및 석사학위(1986)를 취득하였고 한국과학기술원에서 박사학위(1996)를 취득하였다. 1984년부터 한국원자력연구원에 근무하고 있으며 연구용원자로 분야의 다양한 업무를 담당하였고, 방사선 이용 연구를 총괄하였다. 현재는 부원장으로서 연구 및 개발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임인철 박사는 한국방사선산업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국제원자력에너(IAEA)의 사무총장을 자문하는 기구인 SAGNE(Standing Advisory Group on Nuclear Energy)의 위원이다. 임인철 박사는 6종의 연구용 원자로 및 원자력연구기관의 연구 인프라 구축에 관련된 자문서에 저자로 기여하였다.

[발제]

이태호

한국원자력연구원
소장

이태호 박사는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소형모듈원자로 기술개발을 수행하는 선진원자로연구소 소장을 2023년부터 맡고있다. 이태호 박사는 서울대학교에서 학사(1989), 석사(1991) 및 박사(2000) 학위를 취득했으며, 원자로시스템 설계 분야에서 25년 이상의 기술개발자로서의 경험을 가지고 있다. 1990년대 초반과 2000년대 초반에 각각 상용경수로와 한국형 소형모듈원자로인 SMART의 계통설계에 참여했으며, 200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후반까지는 세부책임자 또는 총괄 책임자로서 소듐냉각고속로의 계통 설계 및 검증에 관련된 여러 과제를 수행하였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는 SMART 개발단장으로 SMART 개발업무를 주도하였다

[발제]

패트릭 라이언

ABS
부사장 겸 최고 기술 책임자

패트릭 라이언(Patrick Ryan)은 ABS의 부사장이자 글로벌 엔지니어링 및 기술 및 최고 기술 책임자이다. 그는 ABS의 글로벌 엔지니어링, 기술 연구 개발, 디지털 클래스 및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조직인 글로벌 시뮬레이션 센터와 글로벌 선박 시스템 센터를 책임지고 있다. 그는 해양 엔지니어링 디지털화에 대한 비전과 에너지로 유명하며 엔지니어링, 플랜 리뷰 및 그 이상의 클래스 디지털화를 통해 ABS 및 글로벌 고객을 선도하고 있다. 그가 이끄는 팀은 선주, 설계자, 건설업자들이 계획을 디지털화 할 수 있도록 돕고, 세계 에너지 전환 및 해양 산업의 디지털화 속에서 지속 가능한 목표와 엔지니어링 및 기술의 중추적인 역할을 지원하는 신기술 개발을 주도하는 동시에 세상을 더 안전한 곳으로 만들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책임을 가지고 있다. 조선 기사로서의 경력을 통해 라이언은 항상 배와 선박 건조와 관련된 첨단 기술에 집중해 왔다. ABS에 입사하기 전까지 21년 동안 Newport News Shipbuilding에서 다양한 선박 설계, 프로그램 관리 및 엔지니어링 총괄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디지털 엔지니어링 프로세스와 도구를 담당했으며, 회사의 여러 주요 조선 프로그램의 디지털 전환에 앞장섰다. 라이언(Ryan)은 미국을 포함한 산업용 증강 현실 기술에 관한 7개의 국제 특허를 받았으며, 조선 유체역학 분야의 리더십과 업적으로 권위 있는 더그 엔서(Doug Ensor) 상을 수상했다. 또한 2017년 스마트 인더스트리(Smart Industry)지는 그를 "스마트 제조 분야 디지털 혁신가 톱 50"에 선정했다. 그는 현재 미시간 대학교 공과대학 리더십 자문위원회(LAB), 버지니아 공대 케빈 T. 크로프톤 항공우주 및 해양공학 자문위원회, 휴스턴 지역 비영리 자원봉사 위원회 등을 역임하고 있다.

[발제]

정정호

사단법인 한국선급
팀장

정정호 박사(1973년생)는 서울대학교에서 조선해양공학 학사(1997년) 및 석사(2001년)를 전공하였고,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에서 해양시스템공학 전공으로 박사학위(2018)를 취득하였다. 현대중공업에서 근무하며 선박 구조설계 업무를 수행한 바 있으며, 이후 한국선급에서 18년 동안 선박 및 해양플랜트 시스템의 위험도 평가 업무를 수행해 오고 있다. 한국선급은 친환경 선박의 안전성 검증과 인증을 위한 기술 개발에 노력하고 있으며, 최근 원자력 추진 선박과 같이 SMR의 해양 활용 관련하여 안전성 평가 기술 및 안전규정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토론]

이희성

삼성중공업
파트장

이희성파트장(1973년생)은 부산대학교에서 조선해양공학을 학부부터 박사까지 전공(1992년~2005년) 하였으며, 미국 Texas A&M University에서 1년간 방문연구원(Visiting Scholar, 2003년~2004년) 활동도 수행하였다. 2005년 삼성중공업에 입사하여 현재까지 주로 신기술 신제품에 대한 Risk Study 및 Safety Engineering 업무를 담당해 왔으며, 최근에는 SMR을 기반으로 하는 해양 제품에 대한 연구와 개념 설계를 진행 중이다. 특히, 원자로 성능 검토를 위한 기술 확보 뿐만 아니라 해양 차폐, 고온부식 및 해양거동에 대한 대응 설계 연구도 수행 중이다. 이희성파트장은 삼성중공업 친환경연구센터 안전환경기술파트의 파트장이며, 대한조선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SMR 관련 최근 활동으로는 한국형 용융염 원자로 개발 국책과제, 한국원자력연구원 및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와의 원자력추진선 기술협력 그리고Seaborg와의 해양원전개발 업무에도 참여하고 있다.

[토론]

박상민

HD한국조선해양(주)
상무

HD한국조선해양㈜ 박상민 상무(1974년생)는 충남대학교에서 기계공학 학사과정을(2001), 서울대학교에서 기계항공공학 석사과정을(2003)을, 포항공과대학에서 화공플랜트 박사과정을(2019)을 전공하였다. 2003년에 현대중공업 그룹에 입사하여 LNGC, FSRU, FLNG 등의 다양한 가스 선박 개발과 해양플랜트 설계에 참여했으며, 2011년부터 2년간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에서 유럽 연구기관들과 Subsea 해양플랜트 연구를 수행했다. 최근에는 암모니아/메탄올 선박, CCUS, 해상그린수소 및 원자력 추진선박 분야의 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7년에 올해의 10대 기계기술상을 수상하였으며, 2019년에 대한민국 엔지니어로 선정되었다.

[토론]

설한신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센터장

설한신 박사(1976년생)는 현재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의 함정공학연구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다. 설한신 박사는 부산대학교에서 항공우주공학 학사 (1998년),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 석사(2001년) 및 박사(2005년)를 취득하였다. 2005년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에 입소하여 현재까지 선박 추진기와 함정 스텔스 연구를 수행해오고 있다. 설한신 박사는 현재 다수의 선박 추진과 함정 관련 기술개발 사업을 책임자로서 수행 중에 있다. 최근 SMR 추진선박의 개념설계 연구와 한국원자력연구원과 삼성중공업, 한국조선해양 등과 협력하여 한국형 용융염 원자로 개발과제에 참여하고 있다.

Program
해양인문학 가덕, 지난한 삶 ‘기록과 보존’
일시 2023. 10. 25. (수) 13:30 ~ 16:00
장소 롯데호텔 부산 크리스탈 볼룸 A

[좌장]

김창경

부경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장

김창경 교수(1962년생)는 부산대학교에서 중국문학(1985년)을, 중국 북경대학에서 중국고대문학(1998년)을 전공하였고, 현재 부경대학교 중국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학술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대학의 활동으로는 인문사회과학대학 학장, 국제대학원장, 교무처장, 대학인사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여 학교 발전에 노력해 왔다. 현재 국책사업인 부경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HK+) 사업단 단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외부활동으로는 대한중국학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등 여러 학회의 회장과 편집위원장 직을 역임하였고, 중국의 여러 학회의 해외이사로 활동 중이다. 아울러 세계해양포럼(WOF) 기획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발제]

류청로

부경대학교
명예교수

류 청로 명예교수(1953년생)은 부산수산대학에서 어업학을(1974년), 동 대학원에서 해양물리학 석사(1978), 오사카대학 토목공학과 대학원에서 해안 및 항만공학 박사과정(1984)을 이수하였다.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에서 교육-연구하였으며, 미국 델라웨어대학, 일본 카자자와대학에서 해양유류오염의 해석과 대책에 대한 연구-교육에 집중하였고, 해안-항만구조물의 설계, 어항 및 수산시설물의 설계, 유류오염 및 해양환경 해석과 설계 등 공학적 분야는 물론 해양-항만, 어촌-어항의 인문사회학적인 기능과 역사-문화에 관한 논문, 시론, 저술활동을 활발히 진행해 왔다. 40여년의 바다에 관한 다양한 연구와 경험을 바탕으로 특유의 학문세계를 구축하고, 한국어촌어항협회에서 어촌어항정책의 개발과 시행을 위한 국가 공공업무를 3년간 수행하고, 이주홍문학재단 이사장, 부산수산정책포럼 대표이사장, 어촌뉴딜사업 총괄조정가 등의 직함으로 수산-어촌-어항 문화, 해양인문학에 대한 논의의 장을 활성화하고 있다

[발제]

황경숙

문화재청 무형문화재위원회
문화재청 무형문화재위원

황경숙(1963년)은 부산대학교 대학원에서 민속학을 전공하여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2000). 부산대학교, 부경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외래교수로(1993- 2020), 부산시 문화재위원으로 활동(2016-2022) 하며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민속문화 현장 조사와 연구를 수행했다. 현재 문화재청 무형문화재위원,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위원, 국립해양박물관 편집위원, 국립민속박물관 편집위원, 플랜비 문화예술협동조합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발제]

김기수

동아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박물관장

김기수교수는 동아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석당 박물관 관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현재 해양수산부 등대문화유산위원회 위원,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근대분과 위원장, 근현대수리기술위원회 위원장, 국제기구 DOCOMOMO, Korea (한국 근대건축보존회) 회장으로 활동하며 역사문화자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정책수립 및 연구에 힘쓰고 있다. 동아대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교토공예섬유대학(京都工藝纖維大學)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2021년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 건축학회 건축자산기록화 특별위원회 위원장, 부산건축비엔날레‘오래돤 미래’전시 총감독을 역임한 바 있다.

[발제]

이호상

인천대학교 일본지역문화학과
교수

이호상 교수(1975년생)는 고려대학교에서 지리교육학(2002년), 동대학 대학원에서 도시지리학(2004년), 일본 쓰쿠바대학교에서 도시지리학(2008년)을 전공하였다. 국토연구원,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에서 근무하였으며, 인천대학교 일본지역문화학과에서 8년 동안 일본의 도시, 교통, 지방소멸, 지역활성화, 빈집문제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이호상 교수는 한국도시지리학회의 총무부장이며, 동아시아일본학회,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등에서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인천대학교 일본연구소 소장 겸 일본지역연구센터 연구센터장을 겸하고 있으며, 인천대학교 지역인문정보연구소 부소장을 맡고 있다.

[발제]

서광덕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교수

서광덕 교수(1965년생)는 연세대학교에서 중국문학으로 학사학위를(1990),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중국현대문학(2003)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연세대학교, 한림대학교 등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였으며, 현재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에서 HK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토론]

김경수

재)부산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경수 선임연구위원(1965년생)는 부산대학교에서 도시계획 석사(1993년)이후 부산연구원에서 근무(1995년)하고 있으며, 부산대학교에서 도시계획 박사과정(2002년)을 수료하였다. 이후 현재 까지 부산연구원에 근무하고 있다. 연구원에서는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계획 수립, 가덕도신공항 에어시티 조성계획 수립 등 부산의 주요도시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김경수 박사는 정부 국가균형발전위원회 평가자문단 위원 및 부산시의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위원, 건축위원회 위원, 정비사업 사전타당성 검토 위원 등 다양한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토론]

전경호

국립해양박물관
학예사

전경호는 전남대학교에서 문화인류학을 전공하였고, 동 대학원에서 문화인류학 박사과정을 이수하였다. 2016년부터 국립해양박물관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주로 해양문화, 어촌문화, 어업기술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Program
조선해양 2050 탄소중립 시대 오션 모빌리티 및 해양 디지털 솔루션 기술의 대전환
일시 2023. 10. 25. (수) 13:30 ~ 16:00
장소 롯데호텔 부산 크리스탈 볼룸 BC

[좌장]

안광헌

HD 한국조선해양
사장

HD한국조선해양 안광헌 사장(1960년생)은 경희대학교에서 기계공학 학사학위(1983년)를, 홍익대학교에서 열유체공학 석사학위(1985년)를 취득하였다. 또한,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CEO 최고 경영자 MBA 과정, 한국해양대 경영대학원 CEO 최고 경영자 인문학 과정과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해운·조선·물류·수산 최고위 과정을 수료하였다. 안광헌 사장은 세계 조선·해양분야 최고 기업인 HD한국조선해양에서 사장으로 재임 중이다. 특히, 조선·해운·물류 및 에너지분야의 전문가로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친환경 Marine Engineering & Energy Solution”사업을 총괄하며 탄소중립시대를 선도하고 있는 최고의 글로벌 리더이다. 또한, 전 세계 선박시장에서 35%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는 한국 최초의 순수 독자개발, “힘센엔진(HiMSEN)” 개발의 주역이기도 하다. 그는 대한조선학회,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정회원, 한국선급(KR) 기술위원, 국제내연기관협회(CIMAC) 한국 지회장 등, 산업계와 학계 전반에 걸쳐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현재는 해양수산부 정책자문위원과 글로벌 최대 관심사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온실가스 저감 기술개발과 글로벌 ESG 경영을 주도하는 등, 다양한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발제]

이강기

AVL 연구기업
부사장

이강기 교수는 AVL List GmbH 부사장겸 AVL Zoellner GmbH 사장으로 근무 중이며 유럽 CIMAC중앙위의 온실가스대책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다. GHG2050을 위한 에너지시스템, 차세대 연료, 온실가스감축대책등에 주력하고 있다. 한국해양대학교에서 공학석사 (1991년) 취득 후.서울대학교에서 최고산업전략경영자 과정(2007년)을 수료 했으며 MAN 그룹 주관 독일 WHU와 영국 옥스포드 대학 Said School에서 최고경영자프로그램(2010년)을 이수했다. MAN디젤 코리아 대표이사(2007-2012년), 터빈사업 분야 통합 후 공동 대표이사를 맡으며 한국과 일본, 대만 시장을 담당했다. 대우조선해양 그룹사인 디섹 부사장 으로 글로벌시장 개발과 조선영업, 발전소영업을 2013년 8월까지 주관했다. 이후 한국해양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 그린에너지 센터를 운영, 다수의 정부 및 민간 LNG및 해양프로젝트를 수행하고 KMI와 함께 “한국-인도네시아” 및 “한국-스페인 산업협력 프로젝트 개발”을 수행했다. 2016년에는 부산광역시 조선산업 클러스터 구조팀을 이끌었다. 2017년에는 POSCO의 요청으로 세계 최초로 LNG 추진 고망간강 LNG 탱크를 탑재한 세계최대 벌커선을 Concept Design개발을 한 바 있다. 에너지 트렌드(수소, 암모니아, LNG & Gaseous Fuel), 온실가스감축을 위한 기술개발등의 연구 주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해양플랜트, 미래물류기술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다. CIMAC 온실가스전략위 부위원장, 2014-2016년 세계해양포럼(WOF) 기획위원장, 2014-2017년 Kormarine Conference 프로그램위원장, 독일 선급 기술위원, 정부 프로젝트평가 위원회 위원,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부회장, 한국 내연기관협의회 감사, 유럽상공위원 등 역임

[발제]

스타브로스 하찌그리고리스

ADVANCED ENGINEERING SERVICES / 마란가스
설립자 / 전) 사장

Stavros의 경력은 1981년 Anangel Shipping Enterprises에서 시작됐다. 그는 1992년부터 2014년까지 Maran Tankers Management의 상무이사를 역임했으며, 2003년부터 2020년까지는 Maran Gas Maritime의 상무이사를 역임했다. Stavros는 Maran에서 근무하는 동안 대우조선해양(現한화오션)과 현대삼호중공업에서 45척의 액화천연가스 운반선(LNGC)을 포함하여 한국과 중국에서 160척 이상의 신규 선박의 계약, 건조 및 인도를 담당했다. Stavros는 최근 Zodiac Maritime에서 기술 이사로 일하는 동시에 자체 컨설팅 Co(Advanced Engineering Services)를 설립했다. 그는 University College London에서 조선공학 및 해양공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National Technical University of Athnes에서 해양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또한 그는 University College London에서 선박 운항 관리를 공부했다

[발제]

탄소중립실현을 위한 수소 연료추진 선박 기술개발 동향

김용진

한국기계연구
선임연구원

김용진 박사(1979년생)는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2013년) 기계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기계연구원에서 신뢰성평가연구실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약 10년 동안 조선/해양 친환경 및 스마트 선박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최근 친환경 대체연료에 적용되는 소재 가이드에 대한 기술문서를 발간하여 조선업계 기여를 하고 있으며, 조선/해양 분야 RnD 신규 테마 대응을 위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발제]

임도형

아비커스
사업대표

임도형 대표는 2021년부터 HD현대그룹 자율운항 자회사인 아비커스 대표이사를 맡고 있으며, 2000년 HD현대중공업 동역학연구실 연구원으로 입사한 이래로 동역학연구실장, 한국조선해양 디지털기술연구센터장, 자율운항연구실장을 역임하였다. 임도형 대표는 서울대학교에서 기계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서울대와 카이스트에서 각각 학사, 석사를 마쳤다

Program
50주년 기념 KIOST스페셜 KIOST 50년, 해양과학기술의 가치 창출 플랫폼으로 거듭나다
일시 2023. 10. 25. (수) 16:30 ~ 18:30
장소 롯데호텔 부산 크리스탈 볼룸 A

[좌장]

김동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대외협력부장

김동성박사는 일본 동경(Tokyo)대학교에서 동물학(1992년) 석사와 생물과학(1996년) 박사를 취득하였다. 유치과학자로 귀국 후 국내 다수의 대학 및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중형저서생물 분야 최초의 생리∙생태 국내연구자로서 저변 확충 및 연구 기반 확립에 기여하였다. 국내 최초로 유인잠수정 Shinkai 6500 탑승을 통한 인도양 세계 첫 열수 발견지역인 Kairei탐사 및 세계최초로 지구 가장 깊은 해역인 마리아나해구(11,000m/Kaiko) 첫 과학탐사자(한, 미, 일 공동 한국대표 참가)이다. 이러한 경험을 통하여 2018년에 국내에서는 처음,세계에서는 네번째로 인도양 공해상에서 첫 열수 생태계지역인 “온누리” 발견 및 다양한 생물들의 채집에 성공하여 신종, 신물질 발견 등의 중요 연구결과 발표를 이어오고 있다. 2021년에는 다시 인도양에서 우리나라의 두 번째(온바다), 세 번째(온나래) 열수분출생태계를 발견하는 등 국내·외적으로 심해 및 극한 생태계 연구를 선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동해 및 독도에 대한 해양과학연구를 지속적으로 기획 및 개발, 국가·공공관련 해양정책 및 실행전략 수립 등 현안문제 해결과 더불어 과학정책의 체계 수립 등에 참여하여 국내 해양과학발전에 기여하였다. 김동성박사는 현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대외협력부 부장으로 있으며 해양수산부 해역이용영향검토 자문위원, 국립해양과학관 전문가 자문위원, 녹색성장 해양포럼 사무국장, 해양환경생물학회 이사 및 해양과학위원장과 감사, (사)한국해양정책학회 이사 및 부회장, (사)경기만포럼의 등기 이사, 한국해양학회 학술지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미국 Delaware대학교의 해양정책 연구위원,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기초연구진흥협의회 위원, 경북 동해안 해양수산발전협의체 위원, 울진군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사)독도해양수산연구회의 이사, 한국해양연구원 전략개발실장,생물연구부부장, 기반연구본부장, 동해연구소 소장 등으로 활동한 바 있다.

[발제]

이희승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원장

이희승 박사는 서울대학교 화학과에서 학사(1988), 석사(1990), 박사(1998)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2000년부터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서 연구원으로 연구 경력을 시작하였으며, 주로 해양생명공학 연구부서에서 해양 생물에서 유래한 생리 활성 천연물의 분리 및 구조 규명에 연구를 집중했습니다. 이 박사는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조지아대학교 탄수화물연구센터에서 박사후 과정을 수료하고, 2014년부터 2015년까지 미국 Linus Pauling 연구소에서 방문 과학자로 활동하며 전문성을 발전시켰다. KIOST에서 해양생명공학연구센터장, KIOST스쿨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KIOST 부원장을 맡고 있다

[발제]

양희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정책법연구소장

양희철 박사는 현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법·정책연구소 소장(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해양법 영역 중 특히 해양경계획정, 심해저와 극지, 해양분쟁 등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양희철 박사는 해양경계획정 회담과 국제해저기구 정부대표(법률자문)로 오랫동안 참여하고 있으며, 해양법 및 한반도 주변수역 해양분쟁에 관한 해수부, 외교부, 해군, 해양경찰청 등 정부 부처의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대표 업적으로는 Common Currents: Examining How We Manage the Ocean Commons(2022), 해양법과 정책(2021), 남북한 해양(법) 학자들의 만남(2018), 해양의 국제법과 정치(2011), 국제해양질서의 변화와 동북아 해양정책 : 한중일 대륙붕 외측한계획정의 이론과 전략(2009) 등의 저서(편저)가 있으며, 대한국제법학회와 국제해양법학회, 해양환경안전학회 등의 대외 학술단체에서 활동하고 있다.

[발제]

박준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KIOST 홀딩스 설립추진 단장

박준수 박사(1968년생)는 인천대학교에서 행정학(1992년)을,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정책학(2008년)을 전공하였다. 인천대 사회과학대에서 조교로 근무하다 한국해양연구소(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 입사하여 24년 동안 정책개발실 위촉연구원, 성과확산팀장, 연구관리팀장, 기술사업화실장 등을 거쳤다. 현재 KIOST 홀딩스 설립추진단장으로 기술지주회사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토론]

김서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김서균 박사/책임연구원(1969년생)는 출연연 기술사업화 및 기술창업의 전문가로 활동중에 있으며, 충남대학교에서 무역학(1996년/학사) , 고려대학교에서 국제경영(1998년/석사), 연세대학교에서 기술경영학(2009년/박사)을 전공하였다. 1999년부터 현재까지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사업화전략팀장, R&D창업전략팀장, 중소기업협력부장 등을 거치면서, 출연연 기술사업화 및 기술창업 관련 연구를 꾸준히 수행하고 있다. 김서균 박사는 UST(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에서 과학기술경영정책 전공 교수로도 재직하고 있으며, 출연연 최초 기술지주회사인 에트리홀딩스㈜의 설립 및 운영에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직할연구기관 기관운영평가 위원으로 활동(2023년)중에 있고, 국가R&D예비타당성위원회 위원(2021년~2023년), 제4차(2018~2022)과학기술기본계획수립위원(2017년) 등 국가R&D 및 기술사업화, 기술창업 관련 정책에도 참여하고 있다

[토론]

오현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책기획본부장

오현환 박사(1972년생)는 현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에서 정책기획본부장을 맡고 있다. 국민대학교에서 행정법 전공으로 법학 석사(2000년), 박사(2010년) 학위를 받았다. 2001년부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KISTEP)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근무하는 동안 국가과학기술 정책 기획,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 및 분석,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특히, 정부 R&D혁신방안(2015),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7년), 제4차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기본계획(2020년) 등 국가의 주요 과학기술정책 수립을 총괄 하였다

[토론]

안기돈

충남대학교
교수

안기돈 교수(1970년생)는 충남대학교에서 경제학(1997), 미국 West Virginia University에서 경제학(2005)을 전공하였다. 미국 오하이주 University of Toledo에서 초빙교수로 근무하였으며, 산업연구원 균형발전연구센터에서 약 3년 동안 지역산업정책을 연구하였다. 2009년 3월부터 현재까지 충남대학교 경제학과에서 교수로 근무하고 있으며, 현재 충남대학교 과학기술지식연구소 소장을 겸직하고 있다. 안기돈 교수의 전공은 혁신경제학과 지역경제학으로서 창업, 산학연관 협력, 혁신정책 등의 분야를 연구하면서 29편의 논문을 게재하고 있다. 안기돈 교수는 정책 연구에서 습득한 정책 지식을 정책 자문 및 대전테크노파크 이사 등의 외부활동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토론]

류준영

머니투데이
차장

류준영 기자(1978년생)는 동아대학교에서 산업공학(2004년), 카이스트에서 과학저널리즘석사(2013년), 한양대학교 과학기술정책대학원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다. 지디넷코리아, 이데일리에서 근무했으며, 현재는 머니투데이에서 과학·벤처·스타트업 분야를 취재하고 있다.

Program
해양디자인 중소선박의 안전디자인
일시 2023. 10. 25. (수) 16:30 ~ 18:30
장소 롯데호텔 부산 크리스탈 볼룸 BC

[좌장]

박재현

부산디자인진흥원
전략사업개발 팀장

박재현 박사(1969년생)은 경성대학교에서 공예디자인(미술학 학사)과 산업 공예(미술학 석사), 디지털디자인(디자인학 박사)을 전공하였다. 1998년부터 (재)부산디자인진흥원에 입사하기 전까지 경성대학교, 동명대학교, 동아대학교, 신라대학교 등에서 디자인 전공 외래교수를 역임하였다. 2006년 10월부터 지금까지 부산디자인진흥원에 재직(지원본부장) 중이다. 특히 2014년부터 디지털 전환(DX) 기반의 다양한 국책 프로젝트를 기획·유치·운영하고 있다. 디자인 주도 초연결 산업, 스마트 스타트업 육성, 스마트 홈 & 라이프 스타일 서비스 디자인 R&D, 스타일디자인, 스마트 해양디자인, 디지털 휴먼 빅 데이터 연구 등에 관심이 깊다.

[발제]

박호상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해양안전실 실장

박호상실장(1972년생)은 한국해양대학교에서 선박운항학을(1996년), 같은 대학교에서 선박기관공학(2021)을 전공하였다. 해대상선에서 1등 기관사로 근무하였으며, 이후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에 입사하여 현재 이르고 공단에서 해양사고 예방업무, 해양교통안전 정보시스템 개발 및 운영 업무 및 해양안전문화 확산업무를 추진하고 있다.

[발제]

임학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임학수 박사는 2015년 건국대학교 토목공학과에서 해안 및 항만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4년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원으로 임용되었으며, 2016부터 연안재해안전연구부에서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현재 (사)한국연안방재학회 국제분과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행정안전부 자연재해저감종합대책 검토 전문가와 국토교통부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 및 부산광역시 건설기술심의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안침식 대응기술 개발, 첨단 해양산업 오픈랩 구축, 해양스마트시티 플랫폼 개발 등 연안재해 예측 및 대응 체계와 해양 디지털트윈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발제]

이병훈

㈜케이조선
책임

이병훈 책임은 동아대학교에서 전자공학을(2006년) 전공하였다. 이병훈 책임은 선박 전기 항해 자동화 설계분야에서 17년동안 근무하고 있으며, 현재 케이조선 전장설계팀에 근무하고 있다. 케이조선에서는 전장설계과 더불어 스마트십과 사이버보안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케이조선에서 건조 하는 선박의 디지털 전환을 위하여 국내외 기관과 다양한 연구활동 및 선박 최적화 적용을 위한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토론]

이한성

중소조선연구원
본부장

이한성박사(1965년생)은 서울대학교 조선공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받았고 미국 텍사스 오스틴 주립대 토목공학과에서 박사학위 (2002년)를 받았다. 박사학위 후 동 대학에서 박사후 과정 및 연구원으로 재직하였으며 2007년부터 텍사스주 휴스턴에 있는 Floatec이라는 엔지니어링회사에서 해양구조물 설계, 해석, 설치, 시운전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업무를 수행했다. 2013년에 삼성중공업의 EM(엔지니어링 메니지먼트) 담당 임원으로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잭업, 세미리그등 석유시추설비 및 시추선에 대한 엔지니어링을 총괄하였다. 2019년부터는 시뮬레이션테크에서 기술고문으로 근무하며 탈황설비인 스크러버를 포함한 다양한 친환경 설비에 대한 기술자문을 수행하였으며, 2021년이후 현재까지 중소조선연구원에서 조선해양연구 본부장을 맡고 있다. 현재 친환경선박, 소재, 해양레저안전, 스마트선박등 다양한 분야의R&D를 총괄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토론]

신홍우

크리에이티브 퍼스
대표

신홍우 대표는(1973 년생)는 부경대학교에서 공업디자인학과(2000년)을 전공하였다. 현직장인 크리에이티브 퍼스 에서 년 동안 해양디자인 및 전문 디자인 컨설팅등의 업무를 수행했다. 크리에이티브 퍼스는 해양디자인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으로, 150여개의 양산형 제품디자인 기술 개발을 경험한바 있으며, , 15개의 기술특허와 자체 해양 브랜드인 “PENTARIS(펜타리스)”를 보유하고 있는, 한국 해양환경에 최적화 되는 디자인기술을 구현하는 기업이다. 신홍우 대표는 동남권디자인산업협의 이사이고, 한국해양디자인 학회 이사, 해양레저장비산업협회 이사, 전문 기술평가기관인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에서 전문위원 활동과, 다양한 기관에서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수상경력으로 해외 “IF Design Award”, “reddot”이 있으며, “산업자원통상부장관 상”, “굳디자인 선정(3회)”, “디자인기술혁신대상”,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등 수상한바 있다. 부경대학교, 동서대학교, 동주대학교등에서 외래교수로 제품디자인 개발 강의경력이 있으며, 6권의 디자인 교육 저서를 집필 및 검토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Program
해운·항만 전환의 시대, 해운항만물류의 현주소와 미래발전 방향
일시 2023. 10. 26. (목) 10:00 ~ 12:00
장소 롯데호텔 부산 크리스탈 볼룸 A

[좌장]

김인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1959년에 태어난 김인현 교수는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의 정교수이면서 해상법연구센터의 소장이다. 그는 산코기센의 선장이었으며 현재에도 유효한 선장면허를 소지하고 있다. 김교수는 한국해양대학교에서 항해학을 전공하였고 고려대학교에서 법학박사학위를 수여받았고 미국 텍스사대학 오스틴에서 법학석사과정에서 공부했다. 싱가폴 국립대학과 동경대학법과대학에서 방문교수를 지냈다. 그는 또한 유류오염손해국제기금(IOPC FUND), 국제상거래법위원회(UNCITRAL) 그리고 국제해사기구(IMO)의 한국정부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그는 한국해법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한국상법 해상법 개정위원으로도 활동했다. 세계해법회의 기획위원이다. 현재 IMO의 법률자문의 일원이다. 한국 해양수산부장관의 정책자문위원장이었다. 김교수는 영문 저널에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클루베르 출판사에서 출간한 “한국의 운송법”의 저자이다.

[발제]

샘 조

씨애틀 포트
대표

샘 조는 2019년 항만 위원회에 선출되었고 2023년 항만 위원장이 되었다. 그는 80년대 한국에서 시애틀 항을 통해 미국으로 이민 온 이민자의 아들이며, 오늘날 그는 1911년 항만 설립 이후 가장 어리고 유색인종으로는 최초로 위원장이 되었다. 미래의 경제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추진되는 그의 경력은 정부 및 신흥 스타트업에서 부터 기술 및 지속 가능성 분야의 설립된 회사들에 걸쳐 있다. 그는 현재 브루스 하렐 시애틀 시장실에서 전략 이니셔티브 국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그는 위원장 당선 직전 아시아 태평양에 걸쳐 다양한 국가에 250만 파운드 이상의 계란을 수출한 국제 무역 회사인 Seven Seas Export의 설립자이자 CEO였다. 그의 경력 초기에 그는 미 국무부에서 분석가, 워싱턴 주 상원의원의 입법 보좌관과 미국 의회 의원으로 일했으며 버락 오바마 대통령 아래에서 정무관으로 일했다. 그는 런던 경제 대학교에서 국제 정치 경제학 석사를 취득했으며 아메리칸 대학교에서 국제 관계 예술 학사를 취득했다. 위원으로서 그는 경제적 기회 창출, 환경적 지속 가능성, 형평성, 다양성 및 포용성 증진, 인신매매 종식 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발제]

트리스탄 스미스

UCL
에너지 및 운송 부교수

UCL의 에너지 및 운송 부교수인 트리스탄 스미스 박사는 2010년부터 해운업의 효율성과 배출에 대한 모델링과 분석에 중점을 둔 상당한 그룹을 성장시켜 왔다. 그는 영국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아 기후변화 속에서의 해운 프로젝트를 이끌었고, 제3차 IMO GHG 연구를 이끌었으며, 제4차 IMO GHG 연구의 저자다. 그는 ISO 19030의 수석 저자이며, World Bank의 CPLC Maritime Thread의 공동 의장이며, 학계, 산업계, 정책계 전반에 걸쳐 수많은 프로젝트에 참여해 왔다. 그가 속해있는 그룹은 해운업의 미래 시나리오와 기술 진화를 탐구하기 위해 여러 다국적 기업에 의해 사용되는 GloTraM을 포함한 많은 모델을 유지하고 있다.

[발제]

김승남

서호전기
CEO

김승남 대표(1958년생)는 호주 NSW 대학교에서 전기공학을 (1982년) 전공하고 호주 NSW 대학원에서 전기 공학 – 시스템 제어 전공 (1988년) 전공하였다. 호주 ALTHOM사에서 12년 근무하였으며, 광산 자동화, 철강 자동화, 해저 터널 등 프로젝트들을 수행하였다. 서호전기에서 1993년부터 현재까지 조선소 대형 크레인, 컨테이너 크레인을 설계하며, 크레인 자동화를 개발하고 사업을 하고 있다. 2000년 부터는 자동 컨테이너 크레인을 집중 개발하고 있으며, 2015년부터 서호전기 대표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발제]

아키야마 마사미

한국 일본통운 주식회사
CEO

아키야마 마사미는 1988년 일본 도쿄의 한국 일본통운 주식회사에 입사하여 35년간 자동차, 반도체 등 여러 산업의 공급망 관리 업무를 주로 맡아 왔으며, 특히 아시아와 유럽을 오가며 항공/해상 운송 업무를 수행해 왔다. 그는 2022년 1월에 한국 일본통운 주식회사 대표이사 겸 사장으로 서울에서 근무하기 시작했다.

[토론]

우수한

중앙대학교
교수

우수한 교수는 현재 중앙대학교 국제물류학과에 재직중이며 서울대학교에 경제학사를 1998년도에 취득하고 2008년도와 2011년도에 영국 카디프 대학에서 물류운영관리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각각 취득하였다. 현 직책 이전에는 해양수산부에서 10여년간 근무하면서 해운분야와 항만분야의 정책을 다루었다. 우수한 교수의 연구분야는 해운과 항만관리를 중심으로 국제물류운송 시스템의 효율적인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 연구분야는 운송물류의 공급사슬 통합을 포함하여 공급사슬관리로 확대되고 있다. 그의 연구는 국제적인 학술지인 Supply Chain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Transport Reviews, Maritime Economics & Logistics and Maritime Policy & Management 등에 게재되었다. 물류시스템, 공급사슬관리, 연구방법론 등의 강의를 하고 있다.

Program
수산 BlueFood & FoodTech Innovation
일시 2023. 10. 26. (목) 10:00 ~ 12:00
장소 롯데호텔 부산 크리스탈 볼룸 BC

[좌장]

마창모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연구본부 본부장

마창모 실장(1973년생)은 부경대학교에서 수산경영학(1993년), 서울대학교에서(2017년)에서 농업경제학을 전공하였다. 총리실 산하의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17년 동안 근무하고 있으며, 수산정책, 국제수산, 양식산업 등을 연구를 수행하였다. 마창모 실장은 한국수산경영학회 이사, 미래양식투자포럼 사무국장, 산업부 과학기술수준 평가위원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양식관련 아쿠아팜 4.0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발제]

이혜성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교수

이혜성교수(1973년생)는 이화여자대학교와 대학원에서 식품영양학 학사와 석사학위를(1998년),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 켐퍼스에서 식품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2003년). 이후 유니레버 네덜란드 글로벌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였으며, 2008년부터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식품생명공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에 있다. 교육과 연구분야는 감각·소비자과학으로 소비자요구에 맞는 식품설계와 감각마케팅, 감각특성 지각/인지 등을 연구하는 감성공학연구실과 ‘맞춤형 바이오식품개발’ 연구재단 기초연구실을 운영하고 있다. 융합식품과학 대표 국제저널인 Food Quality and Preference 부편집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식품과학회 감각소비자과학 분과위원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SenseAsia한국대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감성과학분과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발제]

김범근

한국식품연구원
책임연구원

김범근박사는 고려대학교 농화학과에서 학사(1997), 석사(1999) 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교 식품공학과에서 박사(2004) 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 학위 취득 후 한국식품연구원에서 박사후 연구원(2005-2007)으로 근무하였으며, 2007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식품연구원 가공공정연구단 책임연구원으로 재직중입니다. 약 4년간(2019.7-2023.4) 동 연구원 가공공정연구단 단장을 맡은 바 있다. 식품가공분야 중 고령친화식품, 3D 프린팅, 물성 등 최근 푸드테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를 진행중이다. 이 외에 한국식품과학회,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한국축산식품학회 등 주요 학술단체에서 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발제]

정여울

웰피쉬(주)
대표이사

정여울 대표(1991년생)은 고려대학교에서 경영학을 전공하였다. 일본에서 다양한 수산간편식의 발전 가능성을 발견하고 웰피쉬를 설립(2020년) 하여 국내 수산물을 활용한 수산식품을 만들고 있다. 끊임없는 도전으로 3년간 9종의 수산식품을 개발하였고, 미국 아마존과 캐나다 수출을 통해 국내 수산식품의 세계화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실적으로 해양수산부 장관상(2020년),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에 선정(2021년) 등 다수의 수상이력을 보유하고 있다. 블루푸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수산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웰피쉬는 해양수산부 R&D로 '성분 분석을 통한 개인 맞춤형 수산식품 추천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토론]

이기원

서울대학교
교수

이기원 교수(1974)는 서울대학교에서 식품공학을 전공하고(1998), 동대학원에서 석사(2000) 및 박사학위(2004)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푸드테크학과 학과장이자 서울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교수로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푸드테크협의회의 공동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교수는 AI 활용 맞춤형 식이설계 플랫폼, 맞춤형 파이토슈티컬, 맞춤형 바이오팜 등 정밀식의학 기술사업화 분야의 권위자로 서울대학교 산학협력상과 농림축산식품부 과학기술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또한 서울대학교 최대주주회사인 밥스누(BOBSNU)의 창업자로 현재는 CTO직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통령소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위원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 자문을 진행하고 있다

[토론]

김양희

주식회사 에이치엔노바텍
대표이사

김양희 대표(1969년생)는 관동대학교에서 경영학을(1994년) 전공한 이후, 식품 분야 임원을 19년간 연임하였다. 이후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메탄가스(CH4) 감소에 기여하는 대체육 기술 개발을 위해 개인사업자 설립(2016년) 하여 4년간 4만 번의 실험으로 다양한 고기 맛의 대체육 소재 추출에 성공하였다. 김대표는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에서 고기의 맛과 향을 구현할 수 있는 향미 소재를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 기술은 기존의 대체육 기술과는 차별되는 세계 최초 해조류 추출방식의 분자 기술이다. 이후 에이치엔노바텍 법인기업으로 전환(2020년) 하여, ESG와 안전성을 확보한 핵심 기술을 통해 지속적인 투자 확대와, 해외 수출을 진행하는 국내 유일한 대체육 소재 기업이라는 성과를 이루었다. 김양희 대표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양수산부 장관상(2019년), 특허청장상 (2022년) 등 다양한 수상이력을 보유하였으며, 우수한 소재기술로 타 대체육 기업의 잠재적 고객화를 통해 다양한 대체육 식품 개발 확장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토론]

박정환

부경대학교
교수

박정환 교수는 국립부경대학교 양식학과에서 수산양식학(1997년)을 전공하였고, 같은 대학 수산생물학과에서 양식공학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1998~2005). 미국 North Carolina 주립대학 생물학과에서 선임연구원으로(2008-2012), 미국 University of Arkansas에서 교수로 근무한 바 있다(2012-2016). 현재는 국립부경대학교 수산생명과학부 양식응용생명과학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수산과학기술센터 센터장으로 맡고 있다. 그는 UN 오션 컨퍼런스 한국 사절대표단 고문으로 회의에 참여하였고(2017),부산에서 열린 ‘제16차 세계식량농업기구 어류교역소위원회’ 의 의장으로서 회의를 주재하한 바 있다(2017). FAO 세계수산대학교 설립 이후 양식 교육 양식기술학부 주임교수로 활동하였으며(2017-2019), 현재 부경대학교 KOICA 석사학위 프로그램 부주임으로 활동하며 개발도상국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산양식 기술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미국 대학 재직 당시 미남부 지역 양식 센터 양식 위원회 지역 대표 연구자, 미국 과학재단 국립 Membrane 기술 센터 위원, Arkansas 메기양식 협회 고문, 세계양식학회 상벌위원 등을 맡은 바 있다. 국내에서는 대통령직속 농어촌농어업특별위원회 위원, 한국어촌어항공단 비상임이사, 부경대학교동원학술재단위원, 해양수산과학기술 기술위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 기반 수산/양식 기술 위원 등을 역임한 바 있다. 그는 25년이 넘게 국내외 수산양식 기술 개발, 교육/훈련, 인력양성, 정책 자문 및 개발 분야 등의 연구와 업무에 기여해 오고 있다.

Program
크루즈 K-Cruise homeport strategy : K-Culture, Tech & IT
일시 2023. 10. 26. (목) 13:30 ~ 16:00
장소 롯데호텔 부산 크리스탈 볼룸 A

[좌장]

윤 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윤주 연구위원(1974)은 한양대 관광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15년 재직중에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지역관광개발 및 관광정책 그리고 크루즈관광이다. 특히 크루즈 연구는 지난 2014년 ‘방한 크루즈관광의 질적제고방안’연구를 시작으로 ‘크루즈산업 중장기발전전략 수립(2015년), ‘크루즈 기항지 관광활성화 및 프로그램 육성(2015)’, ‘크루즈관광산업 인적자원 육성을 위한 기초 연구(2016)’, 제2차 크루즈산업 육성 기본계획수립(2020)’ 등 다양하게 수행하였다.

[발제]

심상진

경기대학교
교수

심상진교수(1957년생)는 한국방송통신대학 경영학과를 졸업하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마케팅전공 경영학석사, 경기대학교 관광대학원 관광경영학전공 관광학 박사를 수료했다 심상진교수는 현대백화점 여행사업본부,경영정책실, 신사업개발팀, 현대건설 대북사업단, 현대아산 등 현대그룹에서 26년동안 근무했다(1986~2011년) 그는 경기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2012~2023년)로 재직했으며, 한국 최초로 크루즈선 도입에서 운영까지 전 과정 참여했다. 금강산 고성항 크루즈전용부두(5개선석) 기초공사에서 완공 까지의 전 과정 과 입출국장 건설, 관광도로, 관광편의시설 등 금강산관광 인프라 건설에 관광운영책임자로 관여했으며, 현재 한국크루즈포럼 부회장으로 부임중이다

[발제]

희가혜

초상국크루즈연구원
고급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정책실 연구원(2014.4---2020.8) 초상국크루즈연구원 고급연구원(2020.8---현재) 상해해사대학교 박사과정

[토론]

양위주

부경대학교
교수

양위주 교수(1962년생)는 TEXAS A&M University에서 관광레저학박사(1994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학과에서 석사(1987년), 학부에서 조경학(1985년)을 전공하였다. 1994년 귀국 후 (재)부산연구원 도시계획실에서 선임연구원으로서 부산의 관광정책, 관광개발계획 및 전략 수립을 하였다. 이후 1997년 3월 신라대학교에서 관광전공 교수직을 시작하여, 2006년 3월부터 현재까지 부경대학교 경영대학 관광경영학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7년 6월 글로벌해양관광연구소를 설립하여 소장으로서 국내외 해양관광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양위주 교수는 해양수산부 정책자문위원이며, 중앙정부, 부산시,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국책연구기관 등에서 자문위원이나 평가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연구활동으로 (재)한국관광레저학회, 동북아관광학회, 한국관광학회, 한국항해항만학회, 대한관광경영학회 등에서 편집위원이나 회원으로 다양한 학술행사에 참여하고 있다.

[토론]

윤효진

코스타 크루즈
차장

윤효진 차장(1983년생)은 경희대학교 관광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이태리 크루즈 선사인 코스타 크루즈에서 국내 시장 영업 총괄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한국 크루즈 포럼 운영위원, 한국관광연구학회 및 한국해양관광학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속초, 부산, 제주, 포항, 대산 등 국내 크루즈산업 발전에 필요한 연구 및 프로젝트의 TF멤버로 참여하여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토론]

김연경

카니발코퍼레이션코리아
아시아, 홍보 마케팅 실장

김연경 실장(1980 년생)은 크루즈 산업분야에서 크루즈 선사 업무로 16 년간 경력을 쌓아왔다. 2007 년, 프린세스 크루즈와 큐나드 라인의 GSA 에서 업무를 시작해 선사 관련 총괄 업무를 담당했다. 2013 년, 프린세스 크루즈와 큐나드 라인의 한국 공식 지사가 설립되었고, 카니발코퍼레이션코리아에서 홍보와 마케팅 업무를 총괄했다. 2022 년부터는 일본을 제외한 대만, 홍콩, 싱가포르 등 아시아 지역 지사의 마케팅 업무도 책임지고 있다. 또한, 크루즈 산업에서 미래 인재 양성에 큰 관심과 열정을 가지고 있어 그동안 기회가 있을 때마다 세종대학, 건국대학, 대경대학, 사이버 대학, 평생 교육원 등 다양한 기관에서 크루즈 관광과 동향에 대한 특강을 진행하기도 했다. 현재, 한국 크루즈 산업 발전을 위해 해수부 크루즈 발전 협의회, (사)한국 크루즈 포럼, 인천 크루즈 산업 발전 위원회 등의 위원으로 협력하고 있다.

[토론]

발레리 나고르니

블라디보스토크 해상 터미널 LLC
CEO

발레리는 블라디보스토크 상업항 전략기획부문장, 항만 재산·시설관리회사 CEO 등을 역임하는 등 항만산업 분야에서 18년 이상의 경력을 쌓았다. 그는 2015년부터 러시아 태평양의 주요 크루즈 항구인 블라디보스토크 해상 터미널 LLC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그의 지도 아래 블라디보스토크는 아시아 및 국제 크루즈 시장에서 인지도가 높은 크루즈 산업의 정식 회원이 되었고, 연간 크루즈 교통량을 5,000명(2015년)에서 3만 명(2019년) 이상으로 늘렸으며, 아시아에서 항해하는 가장 큰 크루즈 선박을 수용하는 곳으로 발돋움 시켰다. 이 시기에 블라디보스토크의 크루즈 기항지 개발 전략이 제시되고 실행되고 있었으며, 아시아에서 운항하는 모든 크루즈 라인과 연결하기 위해 , 승객을 위한 새로운 호수투어 프로그램 및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발레리의 주도로 블라디보스토크도 크루즈 산업 협회의 회원이 되었으며, 아시아 태평양의 모든 주요 크루즈 산업 행사와 산업 미디어에서 정기적으로 노출되고 있다. 발레리와 그의 팀은 2018년부터 태평양 해역 러시아 크루즈 여행지(블라디보스토크, 사할린 및 쿠릴 섬, 캄차카)를 아시아 및 국제 크루즈 시장을 위한 새로운 유형의 크루즈 여행 일정을 시작하는 시작점으로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으며, 인프라 개발 속도를 높이고 최신 호수투어 프로그램을 구성하며 선사와 협상하도록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0-2022년에 그는 산업 파트너들과 함께 팬데믹의 결과를 고려하여 러시아에서 국제 크루즈 및 페리 승객 운항을 회복하는 데 필요한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2021년 그는 러시아 연방 관광청 산하 크루즈 관광 개발을 위한 팀의 일원으로 포함되어 러시아 연방의 크루즈 관광 개발을 위한 기초 개발과 실행 계획에 참여했다. 팬데믹이 종식된 이후 그와 그의 팀은 크루즈 및 Ro-Pax 페리 부문에서 블라디보스토크의 새로운 시장 플레이어를 유치하기 위한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재개했다. 발레리는 2018년 40세 미만의 글로벌 크루즈 업계의 젊은 전문가들 사이에서 'Seatrade Cruise New의 40세 이하 20인' 중 한 명이 되었으며, 탁월한 진취성과 근면성을 겸비한 모습을 선보여 왔다. 또한 그는 1999년부터 2005년까지 극동주립공과대학(현재의 극동연방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하였으며, 같은 분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Program
해양바이오 지속 가능한 미래 성장 동력 해양바이오
일시 2023. 10. 26. (목) 13:30 ~ 16:00
장소 롯데호텔 부산 크리스탈 볼룸 BC

[좌장]

최완현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관장

최완현 관장(1964년생)은 부산수산대학교에서 수산경영학을(1991년), 부경대학교에서 수산해양학(2002년, 이학석사)과 해양수산경영학(2020년, 경영학박사)을 전공하였다. 지난 27년간 해양수산부에서 양식산업과장, 수산개발과장, 수산정책과장, 국제원양정책관, 어업자원정책관, 수산정책관 등을 거쳐 수산정책실장 및 국립수산과학원 원장을 역임하면서 한국의 수산양식산업 발전과 어업자원관리를 위한 수산정책사업을 관장하였다. 최완현 관장은 2021년부터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관장으로 취임하여 한국의 해양생물자원의 수집·보존·전시 및 연구 등을 체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해양생물 자원의 보전 및 해양수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해양생명자원의 책임기관장으로서 우리나라 해양생물주권 확보 및 해양바이오산업 발전, 대국민 해양가치 확산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

[발제]

허버트 웨이트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
생화학과 교수

허버트 웨이트 교수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생화학을(1971년), 듀크 대학교에서 해양 생화학(1976년)을 전공했으며, 1999년부터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브라 캠퍼스(UCSB)의 분자세포발생생물학과, 화학생화학과, 생분자과학공학 대학원 에서 교편을 잡고 있다. 웨이트 교수는 UCSB에 몸담으며 그간 해양 생물의 하중 지지 생분자 물질에서 발견되는 구조와 물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조사를 실행 및 심화하는 작업을 활발하게 진행해 왔다. 특히 영감의 원천이 됐던 생물로는 접착성 연구와 관련한 홍합(Mytilus)과 샌드캐슬웜(Phragmatopoma), 단단한 내충격성 유기물질 연구와 관련한 오징어(Dosidicus)와 붉은지렁이(Glycera), 교갑재 연구와 관련한 상어(Cynoscyllium)와 쇠고둥(Busycon)이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접착 계면의 설계 향상, 부정합 물질간의 접촉 손상 완화, 주변온도에서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폴리머 처리를 위한 기술적 탐색을 진행했다.

[발제]

후안 루이스 고메즈 핀체티

라스 팔마스 데 그랑 카나리아 대학교
생명공학부 과학과장 겸 책임 교수 /BEA 센터장

후안 루이스 고메즈 핀체티는 라스 팔마스 데 그란 카나리아 대학교 (ULPGC) 해양과학부 교수이자 스페인 조류 은행(BEA)의 연구원이다. 응용조류학 석사학위와 해양과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식물생리학과(스웨덴 웁살라)와 INRA(프랑스 낭트)에서 과학 연수 기간을 거쳤다. 그간 여러 조류 생명공학 연구 논문을 인용 학회지와 국제회의에서 발표했다. 스페인 조류 은행 (BEA) 생명공학 담당부서의 과학 담당 이사이며 해양 거대 조류, 미세 조류, 시아노박테리아의 연구실 배양과 시범사업 규모 배양 분야에서 폭넓은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연구 주제로는 조류 생리학 및 생화학, 집중 배양 환경에서 생산된 해양 조류 바이오매스의 변형 및 활용, 조류를 활용한 바이오필터 시스템 개발이 있으며, 라이프 시칼라스(LIFE- SEACOLORS), H2020-사바나, 인터렉 맥 레베카(Interreg-Mac-REBECA), H2020-뉴테크 아쿠아 등 최근 유럽위원회로부터 재정지원을 받은 연구 프로젝트, 스페인 정부와 카나리아 정부의 지원을 받은 비파로(BIFARO), 이노발가(INNOVALGA), 알리지오(ALIZIO), 기타 연구 협약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스페인 조류 은행은 열대 및 아열대 미세조류, 시아노박테리아, 극한환경 미생물을 보관하고 있는 승인된 균주 수집 기관으로서, 세계지식재산기구(WIPO)로부터 IDA로 인정받았으며, 유럽 균주 수집 협회(ECCO)와 세계 균주 보존 연맹(WFCC)의 회원기관이기도 하다. 아울러 유럽 해양생물학 자원 센터(EMBRC)의 스페인 내 회원기관이자 미생물 자원 연구 인프라(MIRRI)의 일원이다.

[獄쏆뮇?]

繹먲옙?ル굞苑

占쎌뮇?깍옙占쏙옙?놃꺍 占쎈Ŋ肉경€⑥눛釉곤옙占쏙옙占?筌욑옙?닌뗭넎野껋럡?듸옙?뉛옙(占쎈똻堉뉛옙占?占쎄쑨??
?대Ŋ?

繹먲옙?ル굞苑??대Ŋ?뷂옙占?2012占쎄쑬占쏙옙占?占쎌뮇?깍옙占쏙옙?놃꺍 筌욑옙?닌뗭넎野껋럡?듸옙?뉛옙占쎈Ŋ苑??대Ŋ?붹에占?占싼딆춦餓λ쵐?좑쭖占? 占쎄쑴??占쎌뮇?깍옙占쏙옙?놃꺍 ?댐옙占쏙쭪占쏙옙癒?염?닌딄쉽占쏙옙 占쎈똻堉뉛옙?띻펾占쎄낱堉?옙??옙占쎄퀗?꾬옙?k궢 ?됰뗀竊덄㎉?€??옙?毓쏙옙占?占썩뫁?o옙占?筌띯넄?э옙?덈뼄. 占쎌뮇?깍옙占쏙옙?놃꺍 占쎈똻堉뉛옙?녿궢?쒙옙 鈺곕챷毓쏙옙?랁€? 2006占쎄쑴肉?占쎌뮇?깍옙占쏙옙?놃꺍占쎈Ŋ苑?占쎈똻堉뉛옙占?獄쏅벡沅쀯옙?덉맄?쒙옙 ?띯뫀諭뤄옙?륅옙占쏙옙. 2006占쏙옙 獄쏅벡沅?占쏙옙 占쎄쑴?길틦??옙 占쏙옙 16占쎄쑨而?筌?Ŧ援뱄옙占?占쎌뮇?わ㏄癒?퓗占쎈Ŋ竊쒐뵳?덌옙(2007-09), ?⑥쥓??옙占쏙옙?놃꺍(2009-12), 占쎌뮇?깍옙占쏙옙?놃꺍 筌욑옙?닌뗭넎野껋럡?듸옙?뉛옙(2012-占쎄쑴??占쏙옙 域뱀눖龜占쎌꼶?껓옙占? ?대Ŋ?곫€⑨옙 占쎄퀗?꾬옙占?筌띲끉彛딉옙?륅옙占쏙옙. 占쎄쑴?길틦??옙 占쎈똻堉뉛옙占? 占쎈똻堉뉛옙?띻펾, 占쎈똻堉뉛옙?브묶 ?브쑴鍮욑옙占??댐옙?o옙?덈떊筌욑옙占쏙옙 250占쏙옙 占쎈챷??占쎌눖揆占쏙옙 野껊슣?깍옙?륅옙?⑨옙, 野껊슣?깍옙?겆?옙占??ο옙 占쎈챷?쒙옙??땾占쏙옙 10,000占쎈슢占?占쎄낱?띰옙占? 占쎈?釉?~30占쎈슣???댐옙?o옙?됱돳 疫꿸퀣?쒎첎類ㅻ염, ~450占쏙옙 占쎌늿?좄쳸?쀫ご, ~80占쏙옙 ?λ뜆猿뚦첎類ㅻ염 占쏙옙 占쎈벡苑?옙占?占쎌늿?좄쳸?쀫ご占쏙옙 占쎌눖而뀐옙紐꾩뱽 占쎄쑵釉?占쏙옙餓λ쵌而?옙怨쀬뱽 占쎈벏鍮??댐옙沅↑굢癒?춸 占쎄쑬?뀐옙占?占쎄쑴苑?€④쑴肉?占쎄퀡?곻옙?롮뵬占쏙옙 獄쏅뗀?? 占쎄퀣釉? 揶쏉옙苡띰옙占?占쎌빜源?옙占?占쎄퀣?뷂옙源껊궢 域뱄옙 揶쏉옙燁살꼶占?占쎈Ŧ??占쎈슢?곫€⑨옙 占쎈씭?ワ옙?롫뮉 占쏙옙 占쎌쉸?o옙占? 占쎄쑴?깍옙占?繹먲옙?ル굞苑??대Ŋ?뷂옙占?占쎌뮇?깍옙占쏙옙?놃꺍 占쎈똻堉뉛옙怨뚮럡占쏙옙 占쎈굝猷꾬옙?우뒻?깅맧猷꾬옙?곷열占쎄퀗?꾬옙?녠숲 占쎌눛苑o옙占? 占쎌뮄?낉옙?곷펶占쎌뮆?앾옙占?占쏙옙占쎈챷?욑옙癒?삢, 占쎌뮄?낉옙?롮쨮占쎌닀??占쎈똻沅? 占쎌뮄?낉옙?곷펶占쎌꼵瑗랃옙?용퓠占쎈뜆占쏙옙?됱돳 占쎌늿?좑옙?곴텢, ?댐옙?o옙?븍퉸占쎌빜源?€④쑵釉곤옙占?占쎈슣?? 占쎌뮄?낉옙?곷펶占쎈벡肄됵옙?됱돳 占쎈똻沅쀧몴占?野껊챸釉?€⑨옙 占쎈뜄??

[占쎌쥓以]

占쎌쥒瑗랃쭕占

?⑥눛釉경묾怨쀫떊占쎄쑬?귨옙怨뚮럡占쏙옙
占쏙옙占쏙옙

占쎌쥒瑗랃쭕占?獄쏅벡沅?1968占쎄쑴源?占쏙옙 ?⑥쥓??옙占쏙옙?놃꺍占쎈Ŋ苑?占쎌빖梨멩€⑤벏釉곤옙占?占쎄쑨?э옙?곗쨮 占쎌늿??1999占쏙옙)?쒙옙 ?띯뫀諭뤄옙?륅옙占쏙옙. 占쎌뮄?끾€⑥눛釉경묾怨쀫떊疫꿸퀬?뤄옙??옙占쎈Ŋ肉됵옙占?獄쏅뗄?좑옙?삵뀋占쏙옙 ?μ빓?듸옙占쏙옙關?앮에占?域뱀눖龜占쎌꼷占쏙옙?거? 占쎈똻堉뉛옙?뤾텦?⑥눛釉경묾怨쀫떊筌욊쑵?롳옙癒?퓠占쏙옙 10占싼됰€?占쎌늿釉?占쎈똻堉뉛옙?몄구?⑤벏釉?占쎄쑬揆占쎄쑴?앾옙?곗쨮 占쎌뮆猷욑옙?덈뼄. 占쎄쑴?깍옙占??⑥눛釉경묾怨쀫떊占쎄쑬?귨옙怨뚮럡占쎈슢占?占썬끇?곤옙?뤿연 占쎈똻堉뉓쳸遺우뵠占쏙옙 占쎈???옙?쎄숲 鈺곌퀣苑? 占쎈똻堉뉓쳸遺우뵠占쏙옙 占쎈챸遊쏙옙占?占쏙옙占쎈?苑??怨쀪텢 占쏙옙 占썬끉堉뉛옙占?占싼딅씜占쏙옙 ?곕뗄彛딉옙?랁€?占쎈뜄?? 占쎌쥒瑗랃쭕占?獄쏅벡沅쀯옙占?占쎄쑴???⑥눛釉경묾怨쀫떊占쎄쑬?귨옙怨뚮럡占쎈슣??占쏙옙占쎌뮇?좑쭖占? ?⑥눛釉경묾怨쀫떊占쎈베?ワ옙??뻿?븝옙占쎈Ŋ苑??댐옙占썸€⑥눛釉경묾怨쀫떊占쎌뮇占썽겫袁⑥첒筌k떯???μ빓?듸옙袁⑹뜚 獄쏉옙 獄쏅뗄?좑옙?삵뀋?⑨옙 占쎄쑴?앾옙占? ?댐옙占쏙옙怨뚮럡揶쏆뮆而?餓λ쵐?f묾怨좊떮占쎈Ŋ?억옙占?獄쏉옙 筌욑옙獄쎻뫕?듸옙?녿┛占쎌쥙彛딉옙關伊뚳옙?룻€롳옙占?占쎄쑴??占쎄퉮?앮에占?占쎌뮆猷욑옙?랁€?占쎈뜄??

[토론]

전병엽

(주)큐비엠
기술연구소장

전 병엽 (1959년생)은 중앙대학교에서 경영학을(1986)하였으며, 한화그룹에서 근무한 후 벤처기업을 창업하여(1990) 다수의 회사를 IPO하였다. 창업한 회사는 ㈜세스컴(1998) ㈜마켓포인트(1999) ㈜큐엠텔(2000) 등이며, 모두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로 새로운 산업을 만들었다. 현재는 ㈜큐비엠의 CTO로 재직하고 있다. 특히, ㈜큐비엠(2014)은 해양심층수 미네랄과 해양 바이오 소재를 연구 개발하는 회사로써 최근에(2023) 국립해양생물자원과 공동으로 펩타이드 바이오소재를 글로벌 기능성 소재화의 연구개발은 물론, 해양 생물 기원 바이오 펩타이드 소재연구개발에 힘쓰고 있다.

[토론]

홍지원

경북대학교
조교수

홍지원 교수는 건국대학교(2001년)와 동 대학원(2004년) 졸업 후, 던디대학교 생명과학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2009년). 이후 경북대학교 생물학과와 국립해양생물자원관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였으며, 2020년부터 현재까지 경북대학교 수소 및 신재생에너지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홍지원 교수는 해양미세조류를 활용한 바이오에너지 생산과 수질정화 분야의 다양한 연구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경북대학교 신바이오소재연구소 연구부장과 한국조류학회 산학협력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Program
에필로그 블루테크노미 이후
일시 2023. 10. 26. (목) 16:30 ~ 18:30
장소 롯데호텔 부산 크리스탈 볼룸 BC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RqeV2XXM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OR 2+313-313-1=0+0+0+1 --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OR 2+738-738-1=0+0+0+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OR 2+299-299-1=0+0+0+1 --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OR 2+26-26-1=0+0+0+1 or 'gJZEpszs'='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OR 2+495-495-1=0+0+0+1 --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if(now()=sysdate(),sleep(15),0)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0'XOR(if(now()=sysdate(),sleep(15),0))XOR'Z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0"XOR(if(now()=sysdate(),sleep(15),0))XOR"Z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select(0)from(select(sleep(15)))v)/*'+(select(0)from(select(sleep(15)))v)+'"+(select(0)from(select(sleep(15)))v)+"*/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waitfor delay '0:0:15' --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waitfor delay '0:0:15' --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waitfor delay '0:0:15' --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waitfor delay '0:0:15' --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EU4vZB6l'; waitfor delay '0:0:15' --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Rl9fpqjG'); waitfor delay '0:0:15' --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XFTHuyKL')); waitfor delay '0:0:15' --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5 OR 531=(SELECT 531 FROM PG_SLEEP(15))--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5) OR 847=(SELECT 847 FROM PG_SLEEP(15))--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OR 438=(SELECT 438 FROM PG_SLEEP(15))--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NskL0JBd' OR 880=(SELECT 880 FROM PG_SLEEP(15))--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A1KU1kqf') OR 794=(SELECT 794 FROM PG_SLEEP(15))--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exSVgLX')) OR 339=(SELECT 339 FROM PG_SLEEP(15))--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DBMS_PIPE.RECEIVE_MESSAGE(CHR(99)||CHR(99)||CHR(99),15)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DBMS_PIPE.RECEIVE_MESSAGE(CHR(98)||CHR(98)||CHR(98),15)||'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Scu9s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vpUsZHPU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1 OR 2+108-108-1=0+0+0+1 --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1 OR 2+379-379-1=0+0+0+1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1' OR 2+438-438-1=0+0+0+1 --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1' OR 2+923-923-1=0+0+0+1 or 'q0MgvmY1'='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1" OR 2+555-555-1=0+0+0+1 --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if(now()=sysdate(),sleep(15),0)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XOR(if(now()=sysdate(),sleep(15),0))XOR'Z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XOR(if(now()=sysdate(),sleep(15),0))XOR"Z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1 waitfor delay '0:0:15' --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11MWQA2T'; waitfor delay '0:0:15' --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eoqtoyF9'); waitfor delay '0:0:15' --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ZwY2VU0m')); waitfor delay '0:0:15' --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ZXOrxnJz' OR 116=(SELECT 116 FROM PG_SLEEP(15))--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HbY4KP9j') OR 637=(SELECT 637 FROM PG_SLEEP(15))--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nUJUZRd5')) OR 21=(SELECT 21 FROM PG_SLEEP(15))--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DBMS_PIPE.RECEIVE_MESSAGE(CHR(98)||CHR(98)||CHR(98),15)||'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1'"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1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Tz2Hj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dW5USoVX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OR 2+22-22-1=0+0+0+1 --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OR 2+870-870-1=0+0+0+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OR 2+718-718-1=0+0+0+1 --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OR 2+236-236-1=0+0+0+1 or 'IRquYx50'='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OR 2+352-352-1=0+0+0+1 --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if(now()=sysdate(),sleep(15),0)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0'XOR(if(now()=sysdate(),sleep(15),0))XOR'Z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0"XOR(if(now()=sysdate(),sleep(15),0))XOR"Z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select(0)from(select(sleep(15)))v)/*'+(select(0)from(select(sleep(15)))v)+'"+(select(0)from(select(sleep(15)))v)+"*/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waitfor delay '0:0:15' --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waitfor delay '0:0:15' --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waitfor delay '0:0:15' --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waitfor delay '0:0:15' --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SU7V0WAB'; waitfor delay '0:0:15' --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3KKXmcds'); waitfor delay '0:0:15' --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LC1KBEdx')); waitfor delay '0:0:15' --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5 OR 249=(SELECT 249 FROM PG_SLEEP(15))--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5) OR 736=(SELECT 736 FROM PG_SLEEP(15))--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OR 611=(SELECT 611 FROM PG_SLEEP(15))--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zln9BUea' OR 58=(SELECT 58 FROM PG_SLEEP(15))--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w7Psu7Sg') OR 489=(SELECT 489 FROM PG_SLEEP(15))--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QCWHKmEq')) OR 897=(SELECT 897 FROM PG_SLEEP(15))--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DBMS_PIPE.RECEIVE_MESSAGE(CHR(99)||CHR(99)||CHR(99),15)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DBMS_PIPE.RECEIVE_MESSAGE(CHR(98)||CHR(98)||CHR(98),15)||'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UoLtk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84p5TJVu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1 OR 2+450-450-1=0+0+0+1 --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1 OR 2+778-778-1=0+0+0+1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1' OR 2+218-218-1=0+0+0+1 --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1' OR 2+145-145-1=0+0+0+1 or '81WcaPde'='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1" OR 2+371-371-1=0+0+0+1 --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if(now()=sysdate(),sleep(15),0)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0'XOR(if(now()=sysdate(),sleep(15),0))XOR'Z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0"XOR(if(now()=sysdate(),sleep(15),0))XOR"Z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select(0)from(select(sleep(15)))v)/*'+(select(0)from(select(sleep(15)))v)+'"+(select(0)from(select(sleep(15)))v)+"*/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1 waitfor delay '0:0:15' --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Y26EHbyZ'; waitfor delay '0:0:15' --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z6vfvSEP'); waitfor delay '0:0:15' --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V4EieNpX')); waitfor delay '0:0:15' --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0Zq77eqF' OR 310=(SELECT 310 FROM PG_SLEEP(15))--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GflLRudq') OR 776=(SELECT 776 FROM PG_SLEEP(15))--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Lb5QfYe')) OR 136=(SELECT 136 FROM PG_SLEEP(15))--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DBMS_PIPE.RECEIVE_MESSAGE(CHR(98)||CHR(98)||CHR(98),15)||'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1'"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1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Xf03k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Program
Mr. 1
일시 01/01/1967
장소 1

※ 주최측의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FOLLOW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