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F] “초해양시대 수산·해운·항만·조선 분야 국제적 협력 절실”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에필로그 세션

SMR, 선박·해양플랜트 적용 필요
탈탄소·디지털화 국제 협력도 중요
친환경 기술 개발, 미래 먹거리
무역 변수 속 정부 차원 지원 강조

 

‘제16회 세계해양포럼’ 마지막 날인 27일 부산롯데호텔에서 ‘에필로그’ 세션이 열렸다. WOF 사무국 제공

‘제16회 세계해양포럼’(WOF)의 마지막날인 28일 부산롯데호텔에서 열린 ‘에필로그’ 세션은 포럼의 대미를 장식했다. 에필로그 세션은 수산, 해운, 항만, 조선, 해양과학 등으로 파편화된 지식을 통합해 ‘다시 보기’를 하는 세션이다. 에필로그 세션에서는 포럼 위원들이 행사기간 동안 받은 통찰을 공유하며 사흘간 진행된 대장정의 마침표를 찍었다. 참가자들은 초해양시대로 나아가기 위한 각 분야의 협력과 연대에 대한 내용을 마지막으로 종합해 풀어냈다.


본격적인 에필로그 순서에 앞서 차세대 스마트 에너지원인 SMR(소형모듈원자로)에 대한 특별좌담이 열렸다. 유엔 산하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배출 규제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친환경 선박 개발이 치열해지면서 차세대 미래 에너지로 주목받는 SMR을 선박이나 해양플랜트에 적용하는 게 필요하다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 백종혁 한국원자력연구원 미래전략본부장은 “SMR 기술이 국가 미래 성장동력의 큰 축이 될 수 있다”며 “기존 전기 생산 이외에도 전기와 증기를 결합해 수소를 생성한다든지 지역난방 사업도 병행할 수 있고 일부 담수 생산과 활용이 가능한 멀티 플레이어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앞서 사흘간 진행됐던 각각의 세션에 대한 평가들이 이뤄졌다. 이연승 홍익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는 조선해운항만 분야에서의 탈탄소·디지털화에 대한 협력을 강조했다. 이번 WOF에서는 이산화탄소 포집 등 친환경 기술을 통한 조선업의 성장 가능성이 논의됐다. 대기에 배출되는 탄소를 포집하고 바다 밑 지층이나 땅속에 저장해, 탄소를 다른 유용한 물질로 바꾸는 친환경 기술이 강조됐다. 특히 IMO의 환경에 대한 기준이 엄격해지는 가운데, 친환경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해 세계 조선업을 선도하는 것이 큰 먹거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디지털화 분야에는 자율운항 선박이 여러번 언급됐다. 이 교수는 “ICT 융복합 디지털 기술혁신으로 해양산업의 핵심인 조선, 해운, 항만 산업도 잠재적 혁신기술을 선점하고 국제 표준인증 선도를 위한 생존경쟁에 뛰어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수산 관련된 분야에서도 지속가능한 어획과 긴 물류체인에서의 변수 통제가 핵심이라는 내용이 나왔다. 특히 무역 협정에 따른 각각 국가의 변수 발생에 주목해야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마창모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경제전략연구본부장은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디지털경제협정(DEA) 등이 진행되면서 대내외 변수가 크게 작용하는 상황을 잘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각종 무역 규제 등으로 인해 보조금이 사라지는 시대를 대비해야 한다는 흐름도 제시됐다. 수산업의 규모가 큰 것과 별개로 각각의 어민과 가공업체 자체는 영세한 탓에 이러한 무역 변수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해양지수 부문에서는 부산의 주요한 자산이라고 할 수 있는 해양을 제대로 평가할 잣대인 지수 개발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주를 이뤘다. 김민수 KMI 경제전략연구본부장은 “해운사업과 금융, 법률, 다양한 기술과 물류 도시의 매력도 등 여러 평가기준을 개발해야 한다”며 “이런 과정에서 다양한 기관들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올해 WOF에서 두번째로 열리는 KIOST 스페셜 세션에서는 비교적 미지의 분야로 남아있는 심해에 대한 연구 필요성과 산업 발전에 필요한 조건 등이 논의됐다. 우주는 비교적 관찰이 쉽고 실제로 결과도출이 빨라서 많은 차원에서 지원이 이뤄졌지만, 심해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실제로도 심해에 대한 기준, 국가가 실효권을 행사할 수 있는 심해의 정도 등 기본적인 개념도 정립되지 않은 상황이라, 심해의 가능성이 무궁무진 함에도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최복경 KIOST 해양방위안전연구센터장은 “심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 실제로 심해로 내려갈 수 있는 자율 무인정, 각종 심해 기술 등을 개발한다면 우주의 양극단에 있는 심해의 가능성을 충분히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소멸되는 어촌을 살릴 방안으로 제시된 해양인문학 분야에서는 ‘어촌 스토리텔링’이 부각됐다. 어촌 문화콘텐츠가 최근 인기를 끌면서 어촌에 대한 인식이 크게 바뀌고 있고 이를 적극 활용한다면 어촌 재생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손동주 부경대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장은 오래되고 낙후된 지역에서 한번은 살아보고 싶은 아름다운 곳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어촌 스토리텔링은 편협한 어촌에 대한 이미지를 전환해 편견을 없애고, 어촌이 다시 살아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대중화 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다양한 해양 문제 해결과 기술개발을 위해서는 국가 전체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는 내용이 해양정책에서 주를 이뤘다. 송명달 해양수산부 해양정책실장은 “탈탄소·디지털화, 각종 국제 규제 등은 한 기관에서 해결할 수 있지 않다”며 “복잡한 해양 이슈를 다양한 기관이 논의할 수 있는 협의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