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댁뼇諛붿씠? | AI 湲곕컲 ?댁뼇諛붿씠??湲곗닠 ?꾪솴怨?誘몃옒 ?꾨쭩 |
---|---|
일시 | 2024.09.24. (?? |
장소 | Crystal ballroom A |
[좌장]
AI기반 해양바이오 기술 현황과 미래 전망
최완현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관장
최완현 관장(1964년생)은 부산수산대학교에서 수산경영학을(1991년), 부경대학교에서 수산해양학(2002년, 이학석사)과 해양수산경영학(2020년, 경영학박사)을 전공하였다. 지난 27년간 해양수산부에서 양식산업과장, 수산개발과장, 수산정책과장, 국제원양정책관, 어업자원정책관, 수산정책관 등을 거쳐 수산정책실장 및 국립수산과학원 원장을 역임하면서 한국의 수산양식산업 발전과 어업자원관리를 위한 수산정책사업을 관장하였다. 최완현 관장은 2021년부터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관장으로 취임하여 한국의 해양생물자원의 수집·보존·전시 및 연구 등을 체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해양생물 자원의 보전 및 해양수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해양생명자원의 책임기관장으로서 우리나라 해양생물주권 확보 및 해양바이오산업 발전, 대국민 해양가치 확산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
[발제]
해양 생물 정제를 위한 합성 생물학 : 해양산업에서 AI 기술의 새로운 기회
정규열
포항공과대학교
교학부 총장 / 시스템생명공학부․화학공학과 교수
정규열 교수는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교학부총장이며, 화학공학과 및 시스템생명공학부(I-Bio 프로그램) 교수입니다. 정교수는 서울대학교 공업화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MIT 화학공학과 Gregory Stephanopoulos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그의 연구는 합성 생물학 및 유전 분석 시스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는 "Science", "Nature Biomedical Engineering", "Nature Communications" 등 주요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그는 해양수산부의 '우수 연구성과 100선'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과학기술진흥상'을 포함한 여러 상을 수상했습니다. 정 교수는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의 편집장, Journal of Biological Engineering 및 Engineering Biology의 부편집장, 그리고 Metabolic Engineering,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Scientific Reports, Electrophoresis 등 여러 저널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는 한국생명공학회, 한국공업화학회, 한국화학공학회, 한국미생물 생명공학회 회원 및 이사로 활동 중입니다.
[발제]
디지털 펩타이드 : 다시 보는 해양 생물 탐사
강병철
(주)인실리코젠
상무
강병철 박사(1972년생)는 부경대학교에서 학석사로 기계공학을(1996년), 부산대학교 대학원에서 생물정보학을(2004년)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주) 인실리코젠에서 19년동안 근무하고 있다. ㈜인실리코젠은 생물정보 수집, 저장, 분석의 과정으로 빅데이터의 표준과 인공지능 기술을 제시하는 생물정보 전문 기업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생물정보학의 시작과 끝이 데이터라는 생각으로 생물정보 DB 구축과 활용을 위해 유전체와 생물정보학 분야의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60여개의 국가 오믹스데이터 아카이브 구축 사업을 수행하였다.
[발제]
AI 활용 해양미생물 군집 유용 기능 분석
노미나
한양대학교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교수
노미나 교수(1972년생)는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을 (1996년), 미국Indiana대학교에서 컴퓨터과학 (2009년)을 전공하였다. 미국 RoswellPark Cancer Institute에서 조교수로 근무하였으며 한양대학교에서 2013년부터 현재까지 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의생명과학 관련 빅데이터 마이닝과 인공지능 기반 예측모델 개발이다. 노미나 교수는 한국생명정보학회 법제이사, 한국마이크로바이옴학회 학술이사, 한국정보과학회에서 이사이며, 과학기술부 주관 바이오헬스 데이터 플랫폼 협의체 민간위원, 질병청 주관 병원기반 인간마이크로바이옴연구개발사업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발제]
ChatGPT®를 이용한 신약 개발
김성은
(주)온코빅스
대표이사
온코빅스 대표이사 약력 학력: 1991-1995 서울 건국대학교 화학과 졸업 (학사 ) 1995-1997 서울 건국대학교 화학과 유기화학합성 전공 (석사) 2000-2004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약화학 전공 (박사) 2006-2011 미국 국립보건원 (NIH) 암연구소 (NCI) 박사후 연구원 사업체 경력: 1997-1997 국제약품 중앙연구소 연구원 1998-200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의약화학연구센터 위촉연구원 2002-2004 주식회사 메디프론 디비티 선임연구원 2012-2016 서울대학교 종합약학연구소 연구조교수 2016-현재 주식회사 온코빅스 대표이사 활동: 1994-2006 대한화학회/ 대한약학회 정회원 2006-2011 미국약학회 정회원 2023-현재 한국비임상연구회 연구위원되었다.
[발제]
해양수산 바이오 데이터 센터
최정현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수석연구원
최정현 박사(1967년생)은 부산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와 전자계산학 석박사(2004년) 과정을 마치고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과 연구원으로 근무하며 물벼룩과 말벌 게놈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인공지능 기반 유전체 조립 검증 알고리즘과 기능유전체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차세대 시퀀싱 기술을 이용한 많은 미생물 유전체와 동⋅식물 전사체 해독과 분석 기법들을 개발하였다. 2011년 미국 조지아의과대학에 교수로 임용되어 유전체와 후성유전체 기반으로 암 진단과 치료를 위한 오믹스 데이터 분석 기법을 연구하였다. 2016년 귀국하여 국립해양생물자원관에 재직하며 해양수산부 연구개발 사업인 포스터게놈 다부처 유전체 사업, 해양생명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사업 등의 연구 책임자를 수행하였으며 현재 해양수산 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 사업 연구 책임자로 해양수산부 연구개발 사업에서 생산되는 바이오 연구데이터를 수집, 관리, 활용하는 센터를 구축 및 운영하고 있다.
[토론]
AI기반 해양바이오 기술현황과 미래전망
이정로
해양수산부
해양수산생명자원과장
개막식 | 오션인텔리전스 |
---|---|
일시 | 2024.09.24. (화) |
장소 | Crystal ballroom BC |
[기조연설]
UNESCO/IOC(유네스코 정부간해양학위원회)와 AI에 대한 참여
미치다 유타카
유네스코 정부간해양학위원회
의장
[기조연설]
더 강력하고 지속 가능한 AI 컴퓨팅을 위한 차세대 AI 가속기
백준호
FuriosaAI
대표
해운항만 | 해운항만 산업의 AI, 어디까지 왔나? |
---|---|
일시 | 2024.09.25. (수) |
장소 | Crystal ballroom A |
[좌장]
해운항만 산업의 AI, 어디까지 왔나?
김인현
고려대학교 법학전문 대학원
교수
1959년에 태어난 김인현 교수는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의 정교수이면서 해상법연구센터의 소장이다. 그는 산코기센의 선장이었으며 현재에도 유효한 선장 면허를 소지하고 있다. 김교수는 한국해양대학교에서 항해학을 전공하였고 고려대학교에서 법학박사학위를 수여받았고 미국텍스사대학 오스틴에서 법학석사과정에서 공부했다. 싱가폴 국립대학과 동경대학 법과대학에서 방문 교수를 지냈다. 그는 또한 유류오염손해국제기금(IOPC FUND), 국제상거래법위원회(UNCITRAL) 그리고 국제해사기구(IMO)의 한국정부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그는 한국해법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한국상법해상법 개정위원으로도 활동했다. 세계해법회의 기획위원이다. 현재 IMO의 법률자문의 일원이다. 한국해양수산부장관의 정책 자문위원장이었다. 김교수는 영문저널에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클루베르 출판사에서 출간한 “한국의 운송법”의 저자이다.
[발제]
존 전
발모니(주)
대표이사
존 전 대표는 미국 캘리포니아 사이프러스에 위치한 발모니사의 CEO로 재직하고 있다. 캘리포니아 공인 DBE 및 SBE/VSBE 법인인 발모니는 공공사업의 자본개선 프로젝트 및 유지 보수 프로젝트를 위한 계획, QA/QC, 설계 프로젝트 관리 등 전문적인 엔지니어링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는 다분야 해상 운송 및 해양 프로젝트 분야에서 30년 이상의 전문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팀을 성공적으로 관리하고 이끌어 많은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그는 도로 및 교량, 배수, 설비 장치 등 부두, 건물, 철도 및 터미널 부지 개발에 대한 전문 기술 지식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롱비치 항만청에서만 27년을 넘게 근무하였으며, 엔지니어링 설계이사로 토목, 구조, 교통, 전기, 부식 제어, 수중 탐사, GIS 및 터미널 설계 팀을 포함한 부서를 관리했었다. 또한 항구의 설계 기준 및 표준을 개발, 업데이트 시행하는 일도 담당했었다. 그는 롱비치에 위치한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에서 토목공학 석사를, 포모나에 위치한 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 대학교에서 토목공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발제]
해운산업의 디지털 혁신과 인공지능의 미래
김규봉
에이치엠엠 오션서비스 (주)
대표이사
김규봉 (1963년생)은 한국해양대학교에서 항해학 (1986년)을 전공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해운항만물류학 (2022년)을 전공하였다. 김규봉은 대학교 졸업 후 현대상선㈜에서 해기사 (1등항해사)로 약 7년간 근무하였으며, 이후 본사 근무를 25년 이상 이어오면서 선박운항 및 항만개발 관리 업무를 주로 수행하였다. 2019년부터 약 3년간 부산신항만에 위치한 HMM PSA 신항만㈜의 대표이사를 역임하였으며, 2022년부터 HMM(주) 본사에서 해사 및 안전보건 총괄업무를 담당하였고, 현재는 HMM 오션서비스㈜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발제]
AI를 활용한 항만 경쟁력 강화 방안
박경철
부산항만공사 디지털정보부
실장
박경철 실장은 부산대학교 정밀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자동제어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삼성중공업에 입사하여 정보화부서에서 사내 업무혁신, 전산화 등 업무를 20여년간 수행하였다. 재직 중 부산대 산업공학과에서 SCM으로 박사과정 수료를 하였으며, 삼성중공업 전사 ERP 구축 프로젝트, 풍력발전 사업 프로세스 정립 및 ERP 구축, 수주업종 EVM 프로세스 구축 등 전사 혁신 및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를 다수 리딩하였다. 19년부터 현재까지는 부산항만공사에서 정보화 부서장을 역임하며 사내 업무프로세스 개선 및 ERP 구축, 사이버보안, 항만물류 플랫폼 구축 등 업무를 이끌고 있다.
[발제]
물류산업에서의 AI기반 디지털혁신
김민수
CJ대한통운
경영리더 / AI∙빅데이터담당
김민수 경영리더는 KAIST 전산학과에서 데이터베이스 및 머신러닝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삼성SDS에서 대규모 언어모델, 문서인식, 음성인식 뿐만 아니라 제조, 금융, 물류, 의료 분야 등에 적용된 AI 기술의 개발을 리딩했다. 이후 신한은행과 신한AI에서 AI 및 데이터분석 상무로 재직하며 AI 기반의 상담센터, 신용평가, 상품추천, 환율예측 등을 개발했다. 김민수 경영리더는 현재 CJ대한통운 내 TES물류기술연구소에서 AI빅데이터담당으로 재직하며 주문량 예측, 물동량 분석, 최적화 추천 등 물류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하는 AI 기술과 데이터분석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토론]
해운항만 산업의 AI, 어디까지 왔나?
우수한
중앙대학교 국제물류학과
교수
우수한 교수는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국제물류학과에 재직중입니다.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사를 취득하였으며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는 영국 Cardiff 대학교에서 Logistics and Operations Management 전공으로 취득하였습니다. 현 직위 전에는 해양수산부에서 해운항만 정책을 10년이상 담당하였습니다. 우수한 교수는 현재 HMM의 사외이사이며, 부산항만공사의 항만위원이기도 합니다. 또한 해운항만분야 SSCI 저널인 Maritime Policy & Management의 편집위원회 위원이기도 합니다. 우수한 교수의 연구는 국제물류와 운송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최근 해운항만분야에서 기후변화 대응과 인공지능의 적용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그의 연구는 Supply Chain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art D,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Transport Reviews, Maritime Economics & Logistics and Maritime Policy & Management과 같은 저명한 SSCI 저널에 게재되고 있습니다. 학부와 대학원에서 국제물류 머신러닝, 환경물류계량분석, 물류연구방법론 등을 강의하고 있습니다.
[토론]
해운항만 산업의 AI, 어디까지 왔나?
송준석
해양수산부
스마트해운물류팀장
[토론]
해운항만 산업의 AI, 어디까지 왔나?
마놀로 데 라 푼테
네덜란드 로테르담 항만공사
AI리드
마놀로 데 라 푼테는 현재 로테르담 항만의 AI 리더로 재직중에 있다. 그는 수송 및 물류 산업에서의 혁신과 비즈니스 성장 부분에 오랜 기간 종사해왔다. 이전에는 운송 보안회사의 경영 이사로 근무하며, 스타트업과 스케일업 기업의 리더십 역할을 하였다. 그 이전에는 수년간 유럽 내 운송 프로젝트와 관련된 연구 및 자문역의 경험을 국내외에서 쌓았다.또한 TNT와 POSTNL(네덜란드 우편국)에서 영업 관리자를 역임했다. 또한 그는 케냐의 개발자들을 위한 커뮤니티를 육성하고 기술을 닦을 수 있도록 교육을 제공하는 Orange Nile의 창립 임원이다.
조선 | 블루오션 모빌리티와 디지털 솔루션 |
---|---|
일시 | 2024.09.25. (수) |
장소 | Crystal ballroom A |
[좌장]
블루오션 모빌리티와 디지털 솔루션
안광헌
HD한국조선해양(주)
사장
현대중공업 안광헌 사장(1960년생)은 경희대학교에서 기계공학 학사학위(1983년)를, 홍익대학교에서 열유체공학 석사학위(1985년)를 취득하였다. 또한,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CEO 최고 경영자 MBA 과정, 한국해양대 경영대학원 CEO 최고 경영자 인문학 과정과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해운·조선·물류·수산 최고위 과정을 수료하였다. 안광헌 사장은 세계 조선·해양분야 최고 기업인 현대중공업㈜, 한국조선해양㈜에서 사장으로 재임 중이다. 특히, 조선·해운·물류 및 에너지분야의 전문가로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친환경 Marine Engineering & Energy Solution”사업을 총괄하며 탄소중립시대를 선도하고 있는 최고의 글로벌 리더이다. 또한, 전 세계 선박시장에서 35%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는 한국 최초의 순수 독자개발, “힘센엔진(HiMSEN)” 개발의 주역이기도 하다. 그는 대한조선학회,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정회원, 한국선급(KR) 기술위원, 국제내연기관협회(CIMAC) 한국 지회장 등, 산업계와 학계 전반에 걸쳐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현재는 글로벌 최대 관심사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온실가스 저감 기술개발과 글로벌 ESG 경영을 주도하는 등, 다양한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발제]
지속 가능한 미래 그린 & 디지털 전환에 따른 조선, 해양 산업의 전략
스타브로스 하찌그리고리스
Advanced Engineering Services
설립자
[발제]
지속 가능한 항만과 그린 쉬핑 코리도어 - 새로운 해양 연료와 항만 운영에 미치는 영향
이강기
AVL기업
사장
이강기 교수는 AVL Zoellner Marine GmbH 사장으로 근무 중이며 유럽 CIMAC중앙위의 온실가스대책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다. GHG2050을 위한 에너지시스템, 차세대 연료, 디지털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한국해양대학교에서 공학석사 (1991년) 취득 후, 서울대학교에서 최고산업전략경영자 과정(2007년)을 수료 했으며 MAN 그룹 주관 독일 WHU와 영국 옥스포드 대학 Said School에서 최고경영자프로그램(2010년)을 이수했다. MAN디젤 코리아 대표이사(2007-2012년), 터빈사업 분야 통합 후 공동 대표이사를 맡으며 한국과 일본, 대만 시장을 담당했다. 대우조선해양 그룹사인 디섹 부사장 으로 글로벌시장 개발과 조선영업, 발전소영업을 2013년 8월까지 주관했다. 이후 한국해양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 그린에너지 센터를 운영, 다수의 정부 및 민간 LNG및 해양프로젝트를 수행하고 KMI와 함께 “한국-인도네시아” 및 “한국-스페인 산업협력 프로젝트 개발”을 수행했다. 2016년에는 부산광역시 조선산업 클러스터 구조팀을 이끌었다. 2017년에는 POSCO의 요청으로 세계 최초로 LNG 추진 고망간강 LNG 탱크를 탑재한 세계최대 벌커선을 Concept Design개발을 한 바 있다. 에너지 트렌드(수소, 암모니아, LNG & Gaseous Fuel), 해양환경, 배기가스에 의한 환경 등의 연구 주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해양플랜트, 부유식 파워 플랜트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다. 2014-2016년 세계해양포럼 기획위원장, 2014-2017년 Kormarine Conference 프로그램위원장, 독일 선급 기술위원, 정부 프로젝트평가 위원회 위원,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부회장, 한국내연기관협의회 감사, 유럽상공위원 등 역임
[발제]
선박용 대체 연료의 미래
이신형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이신형 교수(1968년생)은 서울대학교 조선공학과에서 학사학위(1990년)와 석사학위(1992년)을 받았다. 1998년에 미국 아이오와대학교에서 기계공학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Iowa Institute of Hydraulic Research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다가,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일본 운수성의 선박기술연구소에서 일본정부의 과학기술청 펠로우로 연구원 생활을 했다. 2001년 다시 도미하여 Fluent Inc.에서 Lead Engineer로 근무했다. Fluent Inc.는 Ansys Inc.로 합병되었다. 2007년 서울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어 귀국하였다. 이신형 교수는 미국 조선학회와 영국 왕립조선학회의 석학회원으로 선정되었다. 대한조선학회의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한국전산유체공학회의 회장으로 있다. 한화오션의 사외이사로도 봉사하고 있다. 학내에서는 공과대학의 기획부학장, 발전기금 텝스사업본부 본부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조선해양공학과의 학과장직을 맡고 있다.
[발제]
초격차 무 탄소 추진 해양 원자로(SMR) 기술 개발
이정익
한국과학기술원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
이정익 교수(1980년생)은 서울대학교에서 원자핵공학을(2003년), 미국 MIT 대학교에서 원자핵공학(2007)을 전공하였다. 학위 후에KAIST 연수연구원으로 근무하였으며, KAIST에서 2010년 이후로 14년동안 교수로 재직하였다. UAE의 칼리파 대학 방문교수(2010-2011), 영국 캠브리지 대학(2017-18) 방문연구원, 미국 MIT(2022-23)에서 방문연구원으로 있었으며 다양한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였다. KAIST에서 교수로 재직하는 동안 해양원전, 소형모듈원전(SMR), 차세대 원전 및 동력변환 기술개발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정익 교수는 현재 한국원자력학회 이사이자 평의원이며 한국유체기계학회의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차세대 한림원 회원이며, 혁신형 소형모듈원전 예타기획, 한국형 ARDP 사업 총괄위원, 11차 전력수급 기본계획 무탄소전원 분과위원 등 다양한 정부의 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발제]
오션 트랜스포메이션: 신재생에너지와 부유식 해상풍력
정종진
HD현대중공업
상무
정종진 상무(1969년생)는 서울대학교에서 조선해양공학 학사 및 동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대중공업에서 25년간 유체 및 구조 전문가로서 해양플랫폼 구조물에 대한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FPSO/TLP/FPU 등의 부유식 및 고정식 석유가스 생산설비 공사에 대한 설계/설치 엔지니어링 기술을 지원해왔다. 최근, 부유식 해상풍력 부유체 설계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고, 국내 최초로 15MW급 상용 부유체 고유모델(Hi-Float)을 개발하였다.
[발제]
선박 자율운항 솔루션 상용화 현황
임도형
아비커스
대표
임도형 대표는 2021년부터 HD현대그룹 자율운항 자회사인 아비커스 대표이사를 맡고 있으며, 2000년 HD현대중공업 동역학연구실 연구원으로 입사한 이래로 동역학연구실장, 한국조선해양 디지털기술연구센터장, 자율운항연구실장을 역임하였다. 임도형 대표는 서울대학교에서 기계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서울대와 카이스트에서 각각 학사, 석사를 마쳤다.
[토론]
블루오션 모빌리티와 디지털 솔루션
백종혁
한국원자력연구원
기획평가위원
백종혁 박사(1966 년생)는 KAIST 원자력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에서 30 년 넘게 근무하고 있다. 국내 주력 원전인 경수로원자로(PWR) 핵연료 국산화, 한국형 표준원전(KSNP) 개발 및 신형핵연료(Advanced PWR Fuel)에 참여한 풍부한 경험을 갖고 있고, 제 4 세대 원자로인 소듐냉각고속로(SFR) 개발에도 직접 참여하였다. 그는 정부 사업단인 소듐냉각고속로사업단(SFRA)에서 사업관리부장(’13~’19 년)으로 대형사업 관리 역량을 발휘했으며, 경수형 SMR 및 비경수형 SMR 개발을 총괄하는 혁신원자력시스템연구소장(’19~’20 년)을 거쳐 원자력연구개발 정책·전략 개발을 책임지는 미래전략본부장(’20~’22 년)을 역임하였다. 또한 그는 원자력의 연구개발의 또다른 큰 축인 사용후핵연료 안전관리 기술개발을 총괄하는 후행원자력기술연구소장(’22~’23 년) 을 역임한 다음 현재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기획평가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백종혁 박사는 14 개 원자력선도국(한,미,프,일,캐 등) 참여하여 제 4 세대 원자로 개발·배치를 논의하는 OECD/NEA 산하의 제 4 세대 국제포럼(GIF, Gen-IV International Forum)에서 한국대표 겸 부의장(’19~’24 년) 역할을 수행하였고,원자력진흥위원회 산하의 원자력이용개발전문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21~’23 년)한 바 있는 소형모듈원자로(SMR)와 핵연료주기 원자력 연구개발 및 원자력정책 관련 최고 전문가이다.
[토론]
블루오션 모빌리티와 디지털 솔루션
김부기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교수
김부기 박사는 경상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입니다. 서울대학교에서 조선공학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미시간 대학교에서 조선해양공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한국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에서 기관장을 역임한 바 있습니다. 그 이전에는 휴스턴 소재 미국선급협회(ABS)에서 근무하였고, 삼성중공업(SHI)에서는 임원으로 중앙연구소장을 역임하여 폭넓은 학문적 지식과 산업계 경험을 갖고 있습니다. 대통령직속 2050탄소중립위원회 위원, 해양수산부 산하 국제해사안전협력센터(KMC) 이사장으로도 활동한 바 있습니다. 현재 한국공학한림원(NAEK) 회원으로 국내외 다양한 산학연 협력을 구축하고 친환경선박, 자율운항선박, 부유식 해상풍력터빈, 원자력추진선박, 해상안전 등 다양한 조선해양공학 분야에서 기술혁신과 관련된 연구 및 교육을 활발히 하고 있습니다.
[토론]
블루오션 모빌리티와 디지털 솔루션
배정철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원장
배정철 원장은 한국해양대 전자통신 공학학사(1986), 선박통신 공학석사(1992), 해양통신 공학박사(1996)를 전공하였습니다. 사라콤 연구이사로 재직(1988.09~2006.02)하였으며,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KOMERI)에서 '전기전자연구본부', '미래전략연구본부', '경영기획실' 등의 부서장을 역임하였습니다(2006.03~2020.06). 현재(2020.07.~)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KOMERI)에서 원장으로 재임중이며, 대한조선학회 부산지부장(2022.06.~) 및 해양정책연합 운영위원장(2023.05.~)을 맡고 있습니다.
[토론]
블루오션 모빌리티 및 디지털 솔루션
장해기
삼성중공업
부사장
교 육 2016 부산대 대학원 기술사업 정책학 박사과정 수료 2012 부산대 대학원 MBA 석사 졸업 1994 전북대학교 정밀 기계공학 학사 졸업 업무경력 2022.12 ~ 부사장 / CTO (기술개발 본부장) 2021.12 ~ 상무(조선설계 담당) 2017.12 ~ 상무(조선 기술영업팀) 2015.12 ~ 상무(운반선 의장설계팀) 2014 ~ 2015 부장(배관 설계팀) 2012 ~ 2013 부장(상선 기본설계팀) 2005 ~ 2011 프로젝트 담당 (상선 기술영업팀) 1994.02~ 삼성중공업 입사.
[토론]
블루오션 모빌리티와 디지털 솔루션
김연태
한국선급
기술본부장
김연태 한국선급 기술본부장은 울산대학교에서 조선공학을 (1988년), 스웨덴 World Maritime University에서 해사안전행정학을 (1998년) 전공하였다. 1989년에 한국선급에 입사하여 선체기술팀장, 국제협력팀장, 싱가폴지부장, 기술영업팀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기술본부장을 맡고 있다.
크루즈 | K-크루즈 시장 확대를 위한 제도 재정비 |
---|---|
일시 | 2024.09.25. (수) |
장소 | Crystal ballroom C |
[좌장]
K-크루즈 시장 확대를 위한 제도 재정비
윤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관광산업연구실
연구위원
윤주 연구위원은 한양대 관광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15년 재직중에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지역관광개발 및 관광정책 그리고 크루즈 관광이다. 특히 크루즈 연구는 지난 2014년 ‘방한 크루즈 관광의 질적 제고 방안’ 연구를 시작으로 ‘크루즈 산업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2015년), ‘크루즈 기항지 관광 활성화 및 프로그램 육성(2015)’, ‘크루즈 관광산업 인적자원 육성을 위한 기초 연구(2016)’, 제2차 크루즈 산업 육성 기본 계획수립(2020)’ 등 다양하게 수행하였다.
[발제]
2024 아시아 크루즈 동향 및 국내 연안크루즈 육성방안
최일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지역경제․ 관광문화연구실
실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최일선 지역경제관광문화연구실장은 영국 Oxford Brookes 대학교에서 서비스관광경영 학사학위와 국제관광마케팅으로 석사학위를 한양대학교에서 관광학 박사학위(2015년)를 취득했다. 이후 2016년부터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및 관심 분야는 해양레저관광과 지역관광으로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MZ세대 소비트렌드를 반영한 해양관광 추진방안 연구, 해양레저관광서비스산업 육성방안 연구, 지역 해양관광 경쟁력 지수 체계화 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는 지역 해양축제 활성화 연구 등이다.
[발제]
K-크루즈 국적선 출범을 위한 법·제도적 지원방안
성우린
법무법인 대륙 아주
변호사
우린 변호사(1985)는 한국해양대학교에서 해양경찰학(항해학)을 전공하고(2008, 학사),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법학전문석사를 취득하였다(2015, 석사).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해상 전문변호사로, 다양한 선박침몰, 선박화재, 선박의 좌초와 같은 해상사건과 이에 대한 사후조치와 관련한 사건, 운송계약 및 선박매매계약(크루즈선 포함) 관련 사건, 항만 및 터미널 관련 사건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현재 대한민국의 대형 로펌 중 하나인 법무법인(유한) 대륙아주에서 파트너변호사로 근무 중이다. 2019년부터 현재까지 해양수산부의 고문변호사 및 정책자문위원(해운·물류 분과)으로 위촉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사단법인 한국크루즈포럼의 자문변호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발제]
일본의 연안 크루즈 현황
하야시 유스케
일본 국토교통성 항만국
크루즈 진흥실장
[토론]
K-크루즈 시장 확대를 위한 제도 재정비
치우링
상해국제크루즈경제연구센터
이사장
치우링은 현재 상해국제크루즈경제연구센터 이사장, 상하이 공정기술대학교 경영 대학 교수, 중국 크루즈 요트 산업 협회 부회장, 국가관광표준화기술위원회 국제표준화 전문위원, 국제 저널인 Cruise Industry Review.의 부 편집장을 맡고 있다. 그녀는 관광 산업 계획과 크루즈 경제에 대한 연구와 실천에 수년 간 전념하고 있다. 지금까지 30개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국가 교육 공로사, 국가 문화 관광국 우수 연구 공로상 등을 수상하였으며, 최근에는 ACLN(아시아크루즈리더네트워킹) 아시아 크루즈포럼(제주도 개최)에서 수상했다.
[토론]
K-크루즈 시장 확대를 위한 제도 재정비
이재경
한국관광공사
전)부사장
이재경전부사장(1958년생)은 경기대학교에서 관광경영학을 전공하였고, 졸업(1982년)후 1981년 한국관광공사에 입사, 2013년까지 32년간 공사에서 근무하였음 2013년부터2016년동안은 그랜드코리아레저에서 부사장으로 근무하였음 2022년에는 국민의 힘 20대 대통령선거 선대위 국민공감미래정책위 관광위원회 위원장으로 일하였음
[토론]
K-크루즈 시장 확대를 위한 제도 재정비
장우석
팬스타그룹 회장실
담당
1998 신세계그룹, 웨스틴조선호텔 (Front Office) 2011 폴라리스쉬핑, 하모니크루즈 (운영∙영업마케팅) 2014 현대그룹, 반얀트리호텔앤리조트 (프레스티지 마케팅) 2015 현대상선, 경영전략팀 전략기획 (국적크루즈 TF) 2017 현대아산, 관광사업팀 (크루즈사업 총괄) 2018 롯데관광개발, 크루즈사업본부 (차터크루즈) 2023 팬스타그룹, 회장실 (신조선 팬스타미러클 TF) 前) 부산광역시 크루즈산업발전위원회 전문위원 (1~2기) 前) 한국크루즈포럼 운영위원 前) 한국해양관광학회 이사 前) 해양수산부 크루즈전문인력양성사업 지정 외래강사
[토론]
K-크루즈 시장 확대를 위한 제도 재정비
최재환
해양수산부
해양레저관광과장
해양금융 | 해운 대변혁 시대의 해양금융 |
---|---|
일시 | 2024.09.25. (수) |
장소 | Crystal ballroom C |
[좌장]
해운 대변혁 시대의 해양금융
윤희성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대학원장
윤희성 교수는 유수 해운기업의 임원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본부장을 거쳐 현재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대학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영국 런던대학교에서 해양금융 석사 그리고 한국해양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국내 해운기업에서 벌크선 사업과 경영전략을 담당하면서 많은 실무경험을 쌓아 이론과 실무를 아우르는 전문가로 평가받고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해운파생상품을 활용한 해운기업의 운임위험관리, 해운환경규제에 대한 재무적 관점의 평가, 인공지능을 활용한 예측과 판단 등이다. 연구활동 이외에 한국해양진흥공사, 한국자산관리공사 등 주요 공공기관에 대한 자문, 해운 및 해양금융과 관련한 다양한 포럼 및 세미나에서의 발표 및 강연으로 활발한 사회기여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발제]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혁신금융과 녹색금융
오레스티스 스히나스
에게 대학교(그리스)
교수
[발제]
일본의 해양클러스터 현황
마츠다 타쿠마
일본 타쿠쇼쿠대학 국제비즈니스학과
교수
타쿠마 마츠다 박사(1973)는 타쿠쇼쿠 대학의 상업학부와 대학원 교수로 재직중이다. 그의 학력은 경제학(츠쿠바 대학)과 물류(도쿄 공과대학)를 전공했다. 그는 그 후 도쿄 공과대학(2018)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전에, 그는 도쿄에 있는 해양 싱크탱크 조직인 일본 해상 센터에서 일했습니다. 그의 관심 있는 학문적 분야는 해상 경제학, 컨테이너 해운 및 물류, 그리고 운송 경제학을 포함한다. 그는 일본 물류 운송 경제학회(2014)와 일본 물류 학회(2014, 2020)로부터 학술상을 받았다. 그는 일본물류해운경제학회, 일본물류학회 등 여러 학회의 회원이며, 아시아 해운물류학회의 회원이기도 하다.
[발제]
KOBC의 해양금융, 이제는 '바다 너머'로 나아갈 때입니다.
윤상호
한국해양진흥공사
사업운영본부장
윤상호 본부장은 한국해양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1993년부터 2017년까지 HMM(구 현대상선)에서 HMM FRANCE법인(르아브르 소재)과 HMM SCANDINAVIA법인(예테보리 소재) 설립을 주도하며 CFO 역할을 하고 이후엔 본사 전략총괄 임원으로 근무하였다. 현재는 한국해양진흥공사 사업운영본부장으로 재직 중이며, 2018년 출범한 한국해양진흥공사의 초대 기획조정실장으로서 기관의 조직, 재무, 기획 등 기틀을 마련하는 역할을 하였고 최근엔 사업운영본부장으로서 대한민국 선대의 친환경화 전환 및 국내외 터미널과 물류기지와 같은 항만물류 인프라 확보를 위한 금융 사업 등을 통해 우리나라를 해양물류강국으로 만들기 위한 정책 및 사업 이행에 힘쓰고 있다.
[토론]
해운 대변혁 시대의 해양금융
정우영
법무법인 광장
변호사
정우영 변호사는 (1959년생)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법학을 (1983), 동 대학 법과 대학원에서 상법을 (1985) 전공하였다. 1992년 법무법인(유) 광장에 합류한 이래 금융 전분야에 걸쳐 경력을 쌓아온 금융전문 변호사로서 특히 선박 금융 등 선박 · 항공기 금융, 구조화 금융, 도산 및 기업 회생과 에너지 및 자원 관련 분야를 담당하였다 기획 재정부, 한국은행, 금융 감독원, 금융 정보 분석원 및 다수의 금융 기관에서 고문 및 자문 변호사로 역할을 수행하였고, 신협중앙회 기금 관리 위원, 우정사업본부 보험 적립금 운영분과위원,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 감독 이사, 수자원 공사 투자자문 위원 등도 역임한 바 있다. 대한해운, 한진해운, HMM 등 해운사의 사외이사로, 해운거래정보센타 대표, 해양수산부, 해양진흥공사 정책 및 경영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고려대학교 겸임교수로 후학을 양성하기도 하고, 영락사회복지법인 이사, 보성 학원 이사, 서울시 의사회 윤리 위원 등으로 공익 활동도 다양하게 하고 있다.
[토론]
해운 대변혁 시대의 해양금융
성낙주
BNK 경영연구원
전문위원
성낙주 전문위원(1963년생)은 성균관대학교에서 영어영문학(1988 학사) 및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국제경영학을 전공(2003 석사)하였고, 한국해양대학교의 해운경영학 박사과정을 수료(2023.02)하였다. 성 전문위원은 1988년 한국산업은행에 입행한 후 33년여 기간 동안 아일랜드 현지법인, 기업금융팀장, 항공기·선박금융팀장, 해외사업단장, 뉴욕지점장 등 주로 국제금융업무를 위주로 한 다양한 업무를 역임·수행하였으며. 2020년 7월부터 한국 해운산업 지원 및 경쟁력 강화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한국해양진흥공사의 사업운영본부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BNK금융지주의 BNK경영연구원에서 전문위원으로 재직중에 있다. 저서는 2020년 5월 출간된 “항공기금융”(박영사)이 있다.
[토론]
해운 대변혁 시대의 해양금융
조기환
한국자산관리공사
해양투자금융처장
조기환처장은 1999년 아시아금융위기시에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입사하여 부실채권정리, 투자금융, 해외사업 및 기업구조혁신펀드 등 다양한 금융부서에서 업무를 수행해 왔다. 2015년부터 2021년까지 해양금융팀장을 맡아 100여척의 선박을 대상으로 20억불을 상회하는 규모의 캠코선박펀드를 조성하였고 이를 통해 해운사의 유동성 공급과 구조조정을 지원하였으며, 현재는 한국자산관리공사 해양투자금융처 처장으로 근무하면서 해양투자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조기환처장은 숭실대학교에서 행정학을,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금융법학을 전공하였다.
수산 | 지속가능한 수산업과 AI : 미래를 위한 혁신 |
---|---|
일시 | 2024.09.26. (목) |
장소 | Crystal ballroom A |
[좌장]
지속가능한 수산업과 AI : 미래를 위한 혁신
마창모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연구본부 본부장
마창모 본부장(1973년생)은 부산수산대학교에서 수산경영학을(1999년), 부경대학교에서 수산경영학 석사(2001년),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2017년)를 취득하였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2003년부터 근무하며 수산연구본부 양식산업연구실장, 양식어촌연구실장, 수산정책연구실장을 거쳐 현재 수산연구본부 본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수산정책, 양식기술 등이며, 양식수산물 수급 안정, HMR 시장 확대에 따른 수산부문 대응전략, 스마트양식 등의 주제로 다수의 연구를 수행했다. 마창모 본부장은 탄소녹색성장위원회 농축수산분과 전문위원, 세계해양포럼 기획위원, 해양수산부 자체평가 위원, 해양수산부 재정평가 심의위원, 국가인재개발원 중앙선발시험위원회 시험위원, 한국수산경영학회 이사,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농어업분과 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2023년 대통령상, 2014년 국무총리상 등을 수상하였다.
[발제]
AI를 활용한 자동 어획 등록: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와 SDG14에 따라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한 어업 데이터 확보 도구
레이첼 틸러
노르웨이 SINTEF Ocean
수석 과학자
틸러 박사는 SINTEF Ocean에서 해양 자원과 생물 다양성의 지속 가능한 거버넌스를 책임지는 수석 과학자이다. 그녀는 또한 SINTEF의 생물 다양성과 지역 이용 전략 연구 분야 책임자이며, 유럽판 어업의 어획 모니터링 디지털 전환에 관한 Everyfish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있다. 틸러 박사는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NTNU)에서 현지 이해관계자 참여 인식부터 글로벌 거버넌스 체제에 이르기까지 모든 수준 분석으로 해양 및 연안 관점의 학제 간 환경 문제에 초점을 맞춘 정치학 박사 학위를 보유하고 있다. 그녀의 전문 분야는 거버넌스 분야, 조정, 이해 관계자 공동 제작, 행위자 중심의 미래 시나리오 구축, 과학 정책 인터페이스 및 기능성 게임, 개념 모델링, 퍼지 인지 매핑 및 베이지안 신념 네트워크를 포함한 정성적 기반/정량적 출력 방법론이다. 그녀는 텍사스 A&M 대학교와 라이스 대학교에서 2018-2019년 풀브라이트 북극 의장을 맡았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 바바라의 지속 가능한 수산 그룹에서 2011-2012년 풀브라이트 장학생으로 활동했다. 그녀는 곧 발표될 IPBES 사업 및 생물 다양성 평가 보고서 1장의 리뷰 에디터로 임명되었다.
[발제]
Ocean Big Data: Marispace-X와 Fish-X가 시연한 데이터스페이스와 인공지능의 결합의 힘
얀 벤트
독일 north.io GmbH
대표
[발제]
유럽의 소규모 어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Fish-X 프로젝트
장 피에르 쿠작
프랑스 CLS
프로젝트 전략 매니저
[발제]
수산 관리에 있어서 AI 기술의 응용
윤석진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연구사
윤석진 박사(1979년생)는 부경대학교에서 해양공학을 전공(2006년)하였으며, 일본 홋카이도대학 환경과학원에서 생물권과학을 전공하여 박사 학위를 취득(2011년)하였다. 박사 학위 취득 후에는 일본 홋카이도대학 수산과학연구원과 교토대학 필드과학교육연구센터에서 근무하였다. 2017년에 귀국하여 현재 국립수산과학원에서 근무하며 우리나라 연근해 수산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AI 기술을 활용한 수산자원 변동 예측 기술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발제]
수산 관리에 있어서 AI 기술의 응용
최정화
국립부경대학교 해양수산국제협력연구소
교수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 최정화 소장(1969년생)은 부경대학교에서 수산자원학을 전공하였다. 북태평양해양과학기구(PICES)에서 인턴으로 근무하였으며, 캐나다 Pacific Biological Station에서 Post-Doc 과정을 마쳤고,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수산자원연구센터, 아열대수산연구소, 독도수산연구센터 및 고래연구소에서 21년동안 수산자원조사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최정화 소장은 한국수산과학회 수석부회장이며, 다양한 해양수산관련학회에서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해양수산부 해양공간적합성협의회 자문위원이며,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어업관련 자문과 한국수산자원공단 연안자원관리를 과학위원회에 소속되어 있으며, 한국국제협력단 기술평가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발제]
수산양식 디지털 전환을 위한 ICT
조성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터장
조성균 센터장은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정보통신공학, 독일 다름슈타트 공과대학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였다. 2006년도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 입사하여, 유무선 통신 서비스/인프라에 대한 연구개발을 수행하였고, 최근에는 농축해양수산지능연구센터장으로 농축수산 분야에 다양한 ICT 적용을 위한 기술개발과 표준화, 기획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18년까지 ITU-T SG13에서 라포처로 활동하면서 유무선 통합 네트워크에 대한 표준화를 이끌었으며, 현재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국제표준전문가 및 WG4261 부의장을 역임하면서 해양수산 분야에 ICT를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표준을 제정하고 있다.
[토론]
지속가능한 수산업과 AI : 미래를 위한 혁신
오서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연구본부
전문연구원
오서연 전문연구원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수산식품∙신산업연구실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수산 정책에 관한 연구를 수하고 있다. 현재 수산업의 디지털 전환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부경대학교 해양수산경영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토론]
지속가능한 수산업과 AI : 미래를 위한 혁신
진효상
에코아쿠아팜(주)
대표
진효상 대표(1979년생)은 동아대학교에서 경제학을(1998~2022 년)을 전공하였다. GS건설에서 근무하였으며, GS건설에서 20 여년동안 신사업, 건축, 주택, 인프라 등 국내/외 다수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해외 캄보디아 지사/법인, 국내 자이가이스트 법인의 대표 및 재경총괄담당(CFO)을 역임하였다. 에코아쿠아팜은 현재 GS 건설 자회사로 RAS 설비를 통해 국내 최초 육상양식을 통해 대서양 연어양식을 선동하며, 1차 산업인 어업을 최첨단하여 해양특수 플랜트산업으로의 전환, 즉 4차 산업으로서의 전환의 선두주자 역할을 하고 있다. 참고로 23년도에는 에코아쿠아팜 대표로 부임한지 6개월만에 수산시책추진에 기여한 공으로 부산시장으부터 표장을 받았다.
[토론]
지속가능한 수산업과 AI : 미래를 위한 혁신
황준성
해양수산부
수산정책과장
블루이코노미 | 해양데이터와 AI, 블루이코노미 시대 가능성과 전망 |
---|---|
일시 | 2024.09.26. (목) |
장소 | Crystal ballroom A |
[좌장]
해양데이터와 AI, 블루이코노미 시대 가능성과 전망
김민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경제전략연구본부장
김민수 본부장은 고려대학교에서 국제법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 워싱턴대학교(2010)와 상하이 해사대학교(2013)에서 방문학자로 수학하였고, 현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경제전략연구본부장을 맡고 있다. 해양수산부 정책연구심의위원, 극지기술연구회 부회장, 국제해양법학회 이사, 한국유라시아학회 대외협력이사, 세계해양포럼 기획위원, 한국북극연구기관컨소시엄(KoARC) 정책분과장을 맡고 있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 특임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APEC TRP, 유엔해양법협약 당사국 회의, 북극서클 및 북극프론티어 등에서 정부대표단으로 활동했으며, 우리나라 해양정책 및 극지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와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발제]
AI시대의 해양데이터의 가치와 활용
전형모
한국해양수산개발원
AI분석지원실장
전형모 박사(1972년생)는 미국 Lehigh Univ.에서 산업공학(SCM)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AI분석지원실장으로 재직 중이며,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겸임교수도 역임하고 있다. 전형모 박사는 해양수산 분야 최상위 계획인 제3차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2021~2030) 수립의 연구책임을 맡았으며, 해양수산 스마트화 추진전략, 해양수산 수소경제기술 활성화 방안, 해양과학기술 산학연 협력센터 조성 타당성 연구 등 해양수산 분야 주요 과학기술정책을 수립 하였으며, 현재 해양수산분야 AI 도입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연구분야는 혁신클러스터 연구, 과학기술 정책 연구 등이다. (hmjeon@kmi.re.kr)
[발제]
클레어 졸리
OECD 과학기술혁신국
팀장
[발제]
해양데이터와 미국 내 기업들
모니카 그라소
미국 NOAA
수석경제학자
모니카 그로소 박사는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수석 경제학자이다. 그녀는 NOAA의 블루 경제 정책, 지구 관측 투자(기후 포함) 및 천연 자원 정책에 대한 지적 리더십, 분석 및 관리 전문 지식을 제공한다. 그녀는 NOAA의 임무(해양, 날씨, 기후 및 어업)를 지원하기 위해 경제 분석으로 리더십과 방향을 제공하는 수석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NOAA에 합류하기 전에 그녀는 국토안보부(DHS) 산하 교통안전국(TSA)의 수석 경제학자로 재직하면서 해당 기관의 주요 경영진에게 운송 산업의 경제 동향과 정책과 대중과 산업에 미치는 영향 등 전문적인 조언, 지침 및 지원을 제공했다. 그녀는 메릴랜드 대학에서 환경 경제학 박사 학위를, 조지타운 대학에서 고급 경영학 자격증을, 하버드 케네디 스쿨에서 이그제큐티브 교육 학위를 취득했다.
[토론]
해양데이터와 AI, 블루이코노미 시대 가능성과 전망
엠마 로커비
UNEP-WCMC
프로그램 책임자
[토론]
해양데이터와 AI, 블루이코노미 시대 가능성과 전망
김주현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경제전망, 데이터연구실장
김주현(1989년생) 박사는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중어중문학과 경영학을(2012년), 중국 복단대학교에서 금융학을(2015년), 서울대학교에서 정책학을(2023년) 전공하였다. 현재 김주현 박사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의 경제전망데이터연구실장이자 부연구위원으로 재직중이며, 주요 연구분야는 해양수산 분야 데이터 생산, 실태조사 및 성과평가이다. 그동안 우리나라 해양수산 분야의 사업체 성과 및 정책 효과 분석, 고용 동향, 산업 정책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최근 연구실적으로는 ''Evaluating the Change in Performance of Ocean and Fishery Busines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2023)'', ''How Will the United Nations (UN) Biological Beyond National Jurisdiction (BBNJ) Agreement Affect the Shipping Industry in the Future?(2023)' 등이 있다.
[토론]
해양데이터와 AI, 블루이코노미 시대 가능성과 전망
이철용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빅데이터, AI센터장
이철용 박사는 인하대학교에서 자원공학(응용지구물리학)을 전공하고(2005), 같은 대학에서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전공하여 석사 학위(2007) 및 박사 학위(2018)를 취득했습니다. 2023년부터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해양빅데이터∙AI센터의 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며, 해양과학, 수산, 해운 등 다양한 분야의 공간 빅데이터의 수집, 처리, 분석 및 시각화에 관한 연구 및 프로젝트 기획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연안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의 총괄책임자를 역임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총 24개의 기관 및 기업이 생산하는 해양 분야 빅데이터의 수집 및 표준화를 지원하는 플랫폼을 구축 운영하고, 나아가 해양수산업계에서 접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해양 및 수산 분야에서 데이터 기반 혁신을 추구하고 확산하는데 기여한다는 의의가 있습니다. 한편, 그는 1단계 해양공간계획(MSP) 수립 연구 (2018-2021)에도 직접 참여하여 공간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고, 해양공간 특성평가 방법에 대한 표준화 및 지침 작성에도 주도적인 기여를 했습니다.
[토론]
해양데이터와 AI, 블루이코노미 시대 가능성과 전망
김광현
경남정보대학교 클라우드 시스템학과/(주)쇼우테크
공학박사/명예교수/ 미래전략기획실장
김광현 박사(1968년생)는 한성대학교에서 정보전산학을 전공하고, 숭실대학교에서 정보통신 공학 석사를 취득 하였으며 부경대학교 정보공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 하였다. 현재 ㈜ 쇼우테크 미래전략기획실 실장으로 재직 중이며 경남정보대학교 클라우드시스템 학과 명예 교수이다. 2003년 경남정보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어 산학협력 부단장, 기획홍보부처장, 컴퓨터정보계열 학과장, AI 컴퓨터학과 학과장등 대학의 주요보직을 수행하였고 2023년 경남정보대학교에 단일 학과로는 전국 최초로 클라우드시스템 학과를 개설하여 학과장을 역임 하였다. 대한항공 국내외 네트워크 운영관리 , 한솔PCS 전국데이터망 구축 ,데이콤 차세대 인터넷망 구축등의 직장 근무 경력이 있다. 현재는 ㈜ 쇼우테크의 미래전략 기획실 실장으로 근무 중이며 한국해양수산 데이터 산업협회 사무국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해양인문학 | AI시대, 바다를 어떻게 전시할 건가? |
---|---|
일시 | 2024.09.26. (목) |
장소 | Crystal ballroom C |
[좌장]
AI시대, 바다를 어떻게 전시할 건가?
김창경
국립부경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장
김창경 교수(1962년생)는 부산대학교에서 중국문학(1985년)을, 중국 북경대학에서 중국고대문학(1998년)을 전공하였고, 현재 부경대학교 중국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학술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대학의 활동으로는 인문사회과학대학 학장, 국제대학원장, 교무처장, 대학인사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여 학교 발전에 노력해 왔다. 현재 국책사업인 부경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HK+) 사업단 단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외부활동으로는 대한중국학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등 여러 학회의 회장과 편집위원장 직을 역임하였고, 중국의 여러 학회의 해외이사로 활동 중이다. 아울러 세계해양포럼(WOF) 기획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발제]
국립해양박물관 전시: 과거의 성과와 미래의 과제
백승주
국립해양박물관
전시팀장
백승주 팀장(1980 년생)은 한양대학교에서 문화인류학과에서 박물관학(2018 년)을 전공하였다. 국립해양박물관 건립추진단(2010 년)부터 근무하여 현재까지 13 년 동안 박물관에서 유물, 전시, 학술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해 왔다. 현재는 전시기획팀장으로 2023 년에는 상설전시 리노베이션 사업, 2024 년에는 기획전시 <조행일록> 개최 사업 등을 추진하였다.
[발제]
해양박물관의 역사와 전망 : 자연사의 지적 전통과 첨단 전시기술로 세계를 끌어안다
김한결
전남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김한결 교수(1985년생)은 파리1대학 팡테옹소르본대학교 미술사학과를 졸업하였다(2007). 동대학원에서 중세미술사 전공과 박물관과문화유산의역사와정책 전공으로 각각 석사학위를 받았으며(2009, 2012), 18세기 말-19세기 초 프랑스의 박물관의 역사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물관 및 컬렉션 역사와 이론, 박물관학, 18세기 프랑스사 등 분야에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현재 전남대학교 사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발제]
AI 시대의 전시 : 박제를 넘어 창조로
고주원
서울예술대학교 영상학부
교수
고주원 교수(1976년생)는 일본 요코하마국립대에서 미디어아트를 전공하고,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영상학을 전공했으며 현재 서울예술대학교 대학원 첨단미디어융합콘텐츠 전공교수로 재직중이다. 2008년 서울시청 외벽을 바탕으로 국내최초의 미디어파사드를 연출했으며, 이후 세계 최대의 홀로그램 공연, 올림픽 개폐회식 영상연출, 엑스포 전시연출 등 첨단영상을 기반으로 한 실감콘텐츠 연출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왔다. 주요경력 ▶ 2025 오사카엑스포 한국관 전시총감독 ▶ 2022 국립남도국악원 실감콘텐츠 전시/공연 총연출 ▶ 2021 한국콘텐츠진흥원장상(최우수 프로젝트) ▶ 2021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 국악뜰 실감영상음향관 총연출 ▶ 2020 인천국제공항 미디어사업 총감독 ▶ 2020 국립중앙박물관 실감콘텐츠 공연 ‘태평성시도‘ 총연출 ▶ 2019 국립중앙박물관 실감콘텐츠 전시기획총괄 ▶ 2019 평창동계올림픽 유공훈장 수상 ▶ 2019 두바이엑스포 한국관 전시연출 ▶ 2019 평창올림픽기념관 전시예술감독 ▶ 2019 서울시 DDP미디어파사드 기획운영위원 ▶ 2018 평창동계패럴림픽 개폐회식 영상연출 ▶ 2018 과학기술정통부 장관상 수상(디지털콘텐츠 유공) ▶ 2018과학기술정통부 차세대 실감콘텐츠분과 기획위원장 ▶ 2015~2016 문화체육관광부 문화기술(CT) 기획위원
[발제]
AI시대 해저미술관 도입을 통한 부산형 공간조성과 문화도입
조정형
한국해양디자인학회
회장
조정형교수(1969년생)는 국립부경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에서 미술학을(1996년), 한양대학교에서 디자인학석사(2003)와 동대학원 디자인전공 박사학위(2010)를 취득하였다. 해양융합디자인연구소 소장으로 해양분야 기업들과 산학 및 연구과제를 진행하고 있으며, 태평양을 중심으로 한국의 해양문화 및 디자인분야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와 사업 및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국립부경대학교 BK21 MADEC디자이니어링연구단을 통하여 대학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를 개설하였고 석사와 박사과정의 연구원들과 해양분양 연구에도 다양하게 연구결과를 국제논문과 국내 논문지에도 게재하고 있다. 현재, 한국해양디자인학회에서 회장으로 활동 중이며, 특히, 국내 최초로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해양디자인분야를 시작하였으며, 해양분야 선진국들과 다양한 교류를 추진하고 있다. 조정형 교수는 해양수산부의 자문교수와 부산광역시 건축위원회 위원이며, 해양정책연합의 운영위원, 북항미래포럼의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공공디자인학회에서 학회 창립 초기부터 19년 동안 상임이사, 부회장 등의 업무를 수행 중에 있다.
[토론]
AI시대, 바다를 어떻게 전시할 건가?
김태만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동아시아학과
교수
김태만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교수 부산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중국 베이징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해양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국제대학 학장을 역임한 바 있다. 2020~2023년에는 국립해양박물관장 직을 역임했으며, 현대중국학회 부회장, 중국현대문학학회 고문 등과 포럼지식공감 공동대표, 한겨레부산국제심포 기획운영위원, 문재인 정부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문위원, 부산광역시 문화예술위원회 위원, 부산광역시 민선7기 인수위원회 글로벌문화도시분과장 등을 역임했다. <시진핑의 ‘중국몽(中國夢)’과 문화강대국의 길>, <시진핑(習近平)의 문화정책과 ‘일대일로(一帶一路)’의 문화전략> 등 다수의 논문과 《중국영화로 만나는 현대중국》, 《중국에게 묻다》, 《파미르의 밤》, 《홀로 문을 두드리다 : 오늘의 중국 문화와 예술 들여다 보기》 , 《다시 루쉰魯迅에게 길을 묻다》, 《해양인문학 : 다시 생각하는 해양문명과 해양성》 등 저역서가 있다.
[토론]
AI시대, 바다를 어떻게 전시할 건가?
이명희
동서대학교 디자인학부
교수
이명희교수(1964년생)는 충남대학교에서산업디자인을(1987년), 일본 큐슈예술공과대학에서 정보전달디자인(2002년)을 전공하였다.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디자인의 힘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한다."라는 이슈를 실천하기 위해 '서비스 & 커뮤니티 디자인 랩'을 운영하고 있다. 부산시 사하구 감천2동 활성화를 위한 '감천문화마을' 활동을 기획하였고, 실행에 이르기까지 디자인의 사회적가치 실현을 위한 연구와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이명희교수는 동서대학교 지속가능발전센터(DSU-SDGs Center) 센터장이며, 부산지속가능발전센터의 사회복지분과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토론]
AI시대, 바다를 어떻게 전시할 건가?
서광덕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HK 교수
서광덕 교수(1965년생)는 연세대학교에서 중국문학으로 학사학위를(1990),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중국현대문학(2003)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연세대학교, 한림대학교 등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였으며, 현재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에서 HK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KIOST 스페셜 | 해양과학기술, AI와의 융합으로 청색기술을 선도하다. |
---|---|
일시 | 2024.09.26. (목) |
장소 | Crystal ballroom C |
[좌장]
해양과학기술, AI와의 융합으로 청색기술을 선도하다
김동성
해양과학기술원
대외협력부장
김동성박사는 일본 동경(Tokyo)대학교에서 동물학(1992년) 석사와 생물과학(1996년) 박사를 취득하였다. 유치과학자로 귀국 후 국내 다수의 대학 및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중형저서생물 분야 최초의 생리∙생태 국내연구자로서 저변 확충 및 연구 기반 확립에 기여하였다. 국내 최초로 유인잠수정 Shinkai 6500 탑승을 통한 인도양 세계 첫 열수 발견지역인 Kairei탐사 및 세계최초로 지구 가장 깊은 해역인 마리아나해구(11,000m/Kaiko) 첫 과학탐사자(한, 미, 일 공동 한국대표 참가)이다. 이러한 경험을 통하여 2018년에 국내에서는 처음,세계에서는 네번째로 인도양 공해상에서 첫 열수 생태계지역인 “온누리” 발견 및 다양한 생물들의 채집에 성공하여 신종, 신물질 발견 등의 중요 연구결과 발표를 이어오고 있다. 2021년에는 다시 인도양에서 우리나라의 두 번째(온바다), 세 번째(온나래) 열수분출생태계를 발견하는 등 국내·외적으로 심해 및 극한 생태계 연구를 선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동해 및 독도에 대한 해양과학연구를 지속적으로 기획 및 개발, 국가·공공관련 해양정책 및 실행전략 수립 등 현안문제 해결과 더불어 과학정책의 체계 수립 등에 참여하여 국내 해양과학발전에 기여하였다. 김동성박사는 현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대외협력부 부장으로 있으며 해양수산부 해역이용영향검토 자문위원, 국립해양과학관 전문가 자문위원, 녹색성장 해양포럼 사무국장, 해양환경생물학회 이사 및 해양과학위원장과 감사, (사)한국해양정책학회 이사 및 부회장, (사)경기만포럼의 등기 이사, 한국해양학회 학술지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미국 Delaware대학교의 해양정책 연구위원,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기초연구진흥협의회 위원, 경북 동해안 해양수산발전협의체 위원, 울진군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사)독도해양수산연구회의 이사, 한국해양연구원 전략개발실장,생물연구부부장, 기반연구본부장, 동해연구소 소장 등으로 활동한 바 있다.
[세션기조]
AI 융합 해양과학기술의 전망
최재식
한국과학기술원 김재철 AI대학원 교수
교수
최재식 교수(인이지 대표이사)는 한국과학기술원 김재철AI대학원의 교수 및 ㈜인이지의 대표이사로 재직중이다. 2004년 서울대 컴퓨터공학과에서 학사, 2012년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컴퓨터과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로렌스 버클리 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하였고,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울산과학기술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의 조교수/부교수로 재직하였다. 2019년 ㈜인이지를 설립하였으며, 2019년부터 현재 한국과학기술원 김재철 AI대학원의 부교수로 재직중이다. 최재식 교수의 연구분야는 시계열 데이터 예측과 설명가능 인공지능 연구이며, 관계형자동통계학자 기술개발로 AI의 예측성 개선 및 포항 제2고로 AI기술 적용 등 AI기술확산에 기여한한 공로를 인정받아 국무총리표장을 수여받았다. 현재 KAIST 설명가능인공지능연구센터 센터장,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AI데이터분과위원 등을 맡고 있다.
[특강]
AI 기반 수산식품 검사 자동화기술
김수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ICT‧모빌리티연구부
책임연구원
김수미 책임연구원 (1979년생)은 배재대학교에서 전자공학을 (1998-2004년) 전공으로 학사·석사 학위를, 서울대학교에서 방사선응용생명과학 협동과정 (2005-2010년)으로 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 주 전공분야는 영상처리이며 석박사 과정동안 의학영상처리 및 의학물리 분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2010-2012), 워싱턴대학 (2012-2015) 및 한국원자력연구원 (2015-2017)에서 방사선 센싱 및 신호처리기술 개발을 수행하였다. 현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7-현재)에서 해양무인자동화 기술 개발을 위한 해양데이터 ICT기반 센싱 및 해양데이터 (해양방사선, 수중영상 등) 처리/분석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해양과학기술융합학과)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해양과학)에 겸직부교수로 재직하며 해양과학 인력 양성을 위해 강의 및 연구를 수행중이다.
[특강]
인공지능 기반 해양 관측 및 예측: 전략과 응용
김남훈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안재해안전연구부
선임연구원
김남훈 박사(1986년생)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토목공학 학사학위(2012년)를 취득하였으며, 서울대학교에서 해안공학 석사학위(2014년)와 연안환경공학 박사학위(2019년)를 취득하였다. 박사학위 취득 후 서울대학교 건설환경종합연구소와 BK21에서 연구원으로 약 1년간 근무하였다. 2020년부터 현재까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력강화연구본부 연안재해안전연구부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운용해양예측시스템(Korea Operational Oceanographic System, KOOS)에서 생산되는 수치예측자료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관측망 설계 및 인공지능 기반 수치모델 결과 교정 기술 개발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특강]
해양연구분야에서 적절하게 AI (GPT) 모델을 사용하는 절차와 현실적인 한계 및 장벽
조홍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빅데이터 AI센터
책임연구원
조홍연 박사(1964년생)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에서 하천공학과 해안공학을 공부하였으며, 같은 대학원에서 하천의 환경변화를 예측하는 모델 개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양대학교(ERICA 캠퍼스)에서는 무형자산의 가치평가를 공부하였으며, 경영학석사(MBA)학위를 받았다. 현재 과학기술연합대학원 대학교와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빅데이터.AI센터에서 해양의 환경변화 예측 모델 개발 및 데이터과학분야의 다양한 응용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는 자연 속 야누스(2011), 하구, 인도양에서 출발하는 바다이름 여행(2014), 바다에서 만나는 인공구조물(2017), 바다에 청진기를 대다(공저, 2017), 과학이 숨어있는 바다의 미술관 갯벌(공저, 2020), 코딩, 해양연구의 도우미(2022), R 프로그램으로 배우는 해양통계학(2023) 등이 있다.
[특강]
드론과 인공지능을 이용한 갯벌 대형저서동물 공간정보 구축
유주형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책임연구원
유주형 박사(1969년생)는 연세대학교에서 지질학(1993년),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에서 원격탐사 전공으로 석사(1995)와 박사(2001) 학위를 받았다. 2003년부터 선임/책임연구원으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두차례 해양위성센터장을 역임하였다. 그의 관심 연구분야는 다양한 플랫폼의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하여 갯벌에서의 지형도제작/표층퇴적상분류도/생태학적 지도제작 분야와 정지궤도 해색위성(GOCI)의 분석기술개발 및 활용 등이다. 그는 우리나라 최초의 데이터저널인 GEOdata 편집위원장을 지냈으며, 현재 GeoAI데이터학회장과 대한원격탐사학회에서 부회장을 맡고 있다.
[특강]
IoET(Internet of Extreme Things)를 위한 극한지 통신 및 장비 기술
백승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ICT‧모빌리티연구부
책임연구원
백승재 박사(1979년생)는 단국대학교에서 컴퓨터 공학(박사 2010년, 석사 2007년)과 전기전자컴퓨터 공학(학사 2005년)을 전공하였다. 2010~2011년 까지 ㈜프롬나이의 창립자이자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하였고, 2011~2013년에는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하였으며, 2014~2016년에는 단국대학교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2016년 부터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백승재 박사의 연구분야는 컴퓨터 시스템의 고신뢰, 저전력, 고성능화이다. 70여 편이 넘는 관련 연구는 최고수준의 저널과 학회에 논문으로 게재 되었으며, 두 권의 책을 집필하였다. IEEE TC, ACM TECS, JISE, ISPASS와 IISWC등의 에디터로 활동하였으며, ICMIC, KCS, NVRAMOS, PRISM 등에서 학회 운영활동을 수행하였다.
[특강]
수중데이터센터 단지 조성 기술 개발
한택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공간개발‧에너지연구부
책임연구원
한택희 박사(1972년생)는 고려대학교에서 토목공학을(1995년 학사), 고려 대학교에서 구조공학(2001 석사, 2006 박사)을 전공하였다. Auburn University 및 서울교통공사에서 근무하였으며,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14년 동안 고성능 해양 및 항만구조물, 해양에너지 개발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현재는 국내 최초로 인류의 해저공간에서의 생활을 위한 해저공간 플랫폼과 거주모듈, 탄소저감과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수중데이터센터의 연구와 개발을 수행 중이다. 한택희 박사(1972년생)는 한국방재학회의 부회장이며, 한국콘크리트학회에서 콘크리트 부유식구조물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 외에 다양한 학회에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각 정부부처 및 지방자치 단체, 공공기관에서의 기술자문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부산시 특별세션 | 아워오션컨퍼런스 10년과 부산 개최의 의미 |
---|---|
일시 | 2024.09.25 (수) |
장소 | Crystal ballroom C |
[좌장]
아워오션컨퍼런스 10년과 부산 개최의 의미
조정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선임연구위원/경영부원장
현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부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인하대학교에서 해양학 학사, Nova Southeastern Univ 에서 Coastal Zone Management 석사, 그리고 University of Rhode Island 에서 환경자원경제학 석사와 자원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수산경영학회 회장, 국립수산과학원의 수산자원회복 광역위원회 위원, 환경부의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전문위원회 위원으로 국가 어업 정책 연구 및 국제 협력 분야에서 폭 넓은 경험을 가지고 있다.
[발제]
Our Ocean Conference, 글로벌 해양담론의 생산과 공유
최지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연구본부장
최지연 해양연구본부장은 경희대학교에서 지리학을 전공했으며, 2001년부터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해양정책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로 연안공간 관리, 연안경제 혁신성장 모델, 바다·섬 지역 개발 등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최근에는 해양 지정학과 글로벌 해양 거버넌스 관련 연구도 수행하고 있다. 최지연 해양연구본부장은 국립해양과학관과 해양수산연수원의 비상임이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해양수산 관련 국가정책 자문 등의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발제]
초소형 해양관측위성 ‘부산샛(BusanSat)’을 활용한 글로벌 기후변화 연구
스노라 스템네스
미국 NASA 랭글리 연구소
물리 연구 과학자
[발제]
시민사회와 아워오션컨퍼런스
박태현
오션스 5
동아시아 프로그램 매니저
박태현(1990년생)은 오션스 5의 동아시아 프로그램 매니저로 한국, 일본, 필리핀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해양보호구역, 지속가능한 어업, 기후 변화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프로그램을 해당지역 NGO들과 협업하여 운영하고 있다. 현재 단체에 합류하기 전에는 그린피스 동아시아 사무소에서 해양 캠페이너, 기후변화 정책 어드바이저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고,영국 세인트 앤드류스 대학교에서 해양생물학을 (2012년),이어 벨기에 겐트 대학교 대학원에서 해양생물다양성과 보존학 (2014년)을 전공하였다. 그 외에도 박태현 매니저는 2021-22년 대통령직속 탄소중립위원회에서 국제협력분과에서 활동하였으며, 그린피스 동아시아 지부의 사외이사로 2022-24년 활동한 바 있다.
[토론]
아워오션컨퍼런스 10년과 부산 개최의 의미
권봉오
국립군산대학교 해양생물자원학과
교수
권봉오 교수(1976년생)는 국립군산대학교 해양생물자원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서울대학교에서 해양학을(2003년, 이학사), 동대학원에서 해양저서생태학(2012년, 이학박사)을 전공하였다.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에서 선임연구원, 연구조교수, 연구부교수로 9년간 근무하면서 해양환경/해양오염/해양기후변화 관련 연구를 수행하였다. 2020년부터 국립군산대학교 해양생물자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2024년부터 대학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현재까지 91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권봉오 교수는 NOWPAP CEARAC 전문가,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전문위원, 해양수산부 정책자문위원, 기상청 K-IPCC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IPCC TFI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토론]
아워오션컨퍼런스 10년과 부산 개최의 의미
김경련
한국해양기술원 해양환경연구센터
책임연구원
김경련 교수 / 책임연구원(1970년생)는 고려대학교에서 공학사(1997년, 재료공학)를, 영남대학교에서 공학 석사(2000년, 환경공학)를, 일본 토요하시 과학기술대학교에서 공학 박사를(2004년, 환경∙생명공학) 취득한 다음, 일본 나고야 대학교에서 연구(박사 후 과정)를 하였다. 2005년 2월부터 현재까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19년 7개월동안 해양퇴적물 정화∙복원 등 해양환경 분야에 특화된 연구∙개발을 하고 있으며 특히, 2016년 3월부터 7년 4개월동안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업무도 함께 수행하고 있다. 최근 5년간 SCI 논문 7편, KCI논문 2편, 특허 등록 4건, 미국 특허 등록 1건 등 우수한 연구 성과를 도출하였다. 김경련 교수/책임연구원는 (사)한국퇴적환경준설학회의 부회장이며, 기타 다양한 학회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등 정부의 주요 건설기술심의위원회의 설계심의분과 위원으로도 참여하고 있다.
[토론]
아워오션컨퍼런스 10년과 부산 개최의 의미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최영준 책임연구원(1969년생)은 경북대학교에서 천문대기과학(1995년 학사, 1997년 석사)를 전공하였으며, 이스라엘 텔아비브 대학교에서 행성과학(2005년)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에서 박사후 펠로우로 근무하였으며, 2007년부터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우주물체감시, 달탐사, 행성탐사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천문우주과학 스쿨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최영준 책임연구원은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장을 역임하였으며, 국가과학기술심의회 공공우주 전문위원으로 참여하였다. 우주용 및 항공기용 편광카메라를 이용한 지구 대기의 에어로졸 관측팀을 이끌고 있다.
에필로그 | 오션인텔리전스 그후 |
---|---|
일시 | 2024.09.26. (목) |
장소 | Crystal ballroom C |
[좌장]
김현겸
팬스타그룹 / 세계해양포럼
회장 / 기획위원장
[토론]
장하용
부산연구원 도시해양연구실
책임연구위원
[토론]
김성범
해양수산부
해양정책실장
[토론]
심성태
부산광역시
해양농수산국장
[토론]
이대성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본부장
[토론]
김인현
고려대학교 법학전문 대학원
교수
[토론]
안광헌
HD한국조선해양(주)
사장
[토론]
윤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관광산업연구실
연구위원
[토론]
윤희성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대학원장
[토론]
마창모
KMI
수산연구본부장
[토론]
김민수
KMI
경제전략연구본부장
[토론]
김창경
국립부경대학교
인문학플러스사업단장
[토론]
김동성
해양과학기술원
대외협력부장
일시 | |
---|---|
장소 |
Help me | 1 |
---|---|
일시 | 01/01/1967 |
장소 | 1 |
Help me | HttP://bxss.me/t/xss.html?%00 |
---|---|
일시 | 01/01/1967 |
장소 | 1 |
[??]
Help me | bxss.me/t/xss.html?%00 |
---|---|
일시 | 01/01/1967 |
장소 | 1 |
Help me | 1 |
---|---|
일시 | 01/01/1967 |
장소 | 1 |
Help me | 1 |
---|---|
일시 | 01/01/1967 |
장소 | 1 |
Help me | 1 |
---|---|
일시 | HttP://bxss.me/t/xss.html?%00 |
장소 | 1 |
Help me | 1 |
---|---|
일시 | bxss.me/t/xss.html?%00 |
장소 | 1 |
Help me | 1 |
---|---|
일시 | 01/01/1967 |
장소 | 1 |
Help me | 1 |
---|---|
일시 | 01/01/1967 |
장소 | 1 |
Help me | 1 |
---|---|
일시 | 01/01/1967 |
장소 | HttP://bxss.me/t/xss.html?%00 |
Help me | 1 |
---|---|
일시 | 01/01/1967 |
장소 | bxss.me/t/xss.html?%00 |
Help me | 1 |
---|---|
일시 | 01/01/1967 |
장소 | 1 |
Help me | 1 |
---|---|
일시 | 01/01/1967 |
장소 | 1 |
HttP://bxss.me/t/xss.html?%00 | 1 |
---|---|
일시 | 01/01/1967 |
장소 | 1 |
bxss.me/t/xss.html?%00 | 1 |
---|---|
일시 | 01/01/1967 |
장소 | 1 |
Help me | 1 |
---|---|
일시 | 01/01/1967 |
장소 | 1 |
Help me | 1 |
---|---|
일시 | 01/01/1967 |
장소 | 1 |
※ 주최측의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