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 2050 탄소중립 시대, 스마트 선박과 그린수소 도전 |
---|---|
일시 | 10.27(수) 오후 13:30~17:30 |
장소 | 세계해양포럼 공식홈페이지 및 유튜브 생중계 |
![]() |
[좌장]
안광헌 현대중공업(주) 사장 엔진기계사업부 사업대표 세계조선.해양분야 최고 기업인 현대중공업㈜에서 사장으로 재임중이며, 조선.해운.물류 및 에너지분야의 전문가로 풍부한 경험과 탄소중립 시대를 선도하는 최고의 글로벌 리더로서“친 환경 Marine Engineering & Energy Solution”사업을 총괄하는 최고 경영자이다. 전 세계 선박시장의 35%이상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 한국 최초의 순수 독자기술인“힘센엔진(HiMSEN) 개발 주역이기도 하다. 또한 한국 조선학회 정회원 및 한국선급(KR) 기술위원, 국제 내연기관 협의회(CIMAC) 한국CIMAC회장등 조선.해운.물 및 Marine & Ocean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주도하고 있다.다. 현재는 글로벌 최대관심사인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시대 Green House Gas, Zero Carbon최신 기술개발과, 글로벌 ESG 경영을 주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
[기조연설]
세션의도 소개 및 인사말 프로데 술베르그 주한노르웨이대사 프로데 술베르그 대사는 2018년 7월부터 현재까지 주한노르웨이대사로서 활동하고 있다. 외교부에서 근무하기 전에는 언어학과 정치학을 전공으로 노르웨이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노르웨이 국군의 장교로 복무했다. 군사와 외교 교육 외에도 노르웨이 버겐에 있는 대학교에서 전 세계 기후 변화에 관한 단기 프로그램 교육도 받았다. 그는 한국에 오기 전 노르웨이 외교부 인사국장을 역임했고, 외교부와 스톡홀롬 주재 노르웨이 공관차석, 베를린 주재 노르웨이 대사관 상담관, 빈과 아부다비 주재 노르웨이 대사관에 파견되는 등 다양한 직책을 두루 거쳤다. |
![]() |
[기조연설]
선박연료로서 수소 도전과제, 기회, 앞으로의 방향 모니카 알바레스 카르도조 노르웨이 DNV Maritime 수소 및 대체 연료 전문가 모니카는 DNV 선급(DNV Maritime Classification)에서 선박 연료로 수소를 사용하기 위한 혁신적인 프로젝트에 승인 및 기술 지원을 하고 있다. 아시아와 유럽에서 감독관으로 일한 후 노르웨이에서 가스 승인 전문가가 되어 가스선, 재기화 및 가스 추진선 프로젝트를 담당했다. 2016년 IMO의 액화 수소 운반선에 관한 임시 권고안을 개발하는 실무단으로 일했으며, 그 후, 해운업에서 안전한 수소 사용과 관련된 승인, 연구, 업계 합작 프로젝트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
![]() |
[발표자]
탄소중립 시대의 신에너지해상수송 유병용 한국조선해양 상무 유병용 상무는 서울대학교에서 조선해양공학학사, 동대학교에서 조선해양공학석학 및 조선해양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해군사관학교 교수사관으로 근무하였으며,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에서 16년동안 LNG 운반선과 LNG연료추진선의 극저온 기술 개발을 담당하였다. 현재 한국조선해양 에너지기술연구소에서 LNG와 수소, 암모니아, 이산화탄소와 같은 차세대 액화 가스에 대한 신기술, 신사업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
|
[발표자]
IMO 온실가스 규제 대응 전략(EEXI, CII) 송강현 한국선급 (KR) 친환경선박해양연구소장 송강현 박사는 서울대학교에서 조선해양공학학사 및 박사를 전공하였다. 해군조함장교로 잠수함 개념설계를 수행하였으며, 1996년부터 한국선급에 근무하고 있고 현재는 한국선급 친환경선박해양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마린엔지니어링 학회 이사, ISSC 회원, IMO SDC 한국대표, IACS CSRH 멤버였으며, 현재는 해외수소도입 운송분과장을 맡고 있고 수소선박기술 포럼 워킹그룹장 및 해양플랜트설계연구회/극지기술연구회 운영위원을 맡고 있다, . |
|
[발표자]
친환경 수소선박 기술동향과 해양 수소경제 계획 김만수 부산대학교 수소선박기술센터 초빙교수 김만수 교수는 부산대학교 수소선박기술센터에서 초빙교수로 재직중이며 부산대학교에서 조선해양공학사, 아주대학교에서 EMBA 과정을 수료하였다. 특히, ㈜DSEC에서 CEO로 근무하였으며 1981년부터 대우조선해양에서 30년 이상 선박 구조설계 관련 업무를 수행한 바 있다. 주요 활동으로 5개 선급(KR, DNV, LR, BV, NK)에서 기술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해양플랜트설계연구회에서 회장직을 겸임하였다. 또한, 2013년에는 대형컨테이너선박 설계로 IR52 장영실상을 수상하였다. |
![]() |
[발표자]
친환경선 조선해양가지재의 초격차 전략 배정철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KOMERI) 원장 배정철 원장은 한국해양대학교 전자통신공학사(1986), 동 대학 선박통신공학 석사(1992), 해양통신공학 박사(1996) 로서 학위를 받았다. ㈜사라콤에서 연구소장으로 근무하였으며(1988),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전기전자연구본부장, 감사실장, 경영기획실장 등으로 근무하였다(200). 현재는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장으로 재직 중이며(2020), 부경대학교 기술경영대학원 겸임교수(2016)로서 재직 중이다. |
![]() |
[발표자]
이강기 AVL 리스트 부사장 이강기 교수는 AVL List GmbH 부사장 겸 AVL Zoellner GmbH 사장으로 근무 중이며, 유럽 CIMAC중앙위의 온실가스대책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다. GHG2050을 위한 에너지 시스템, 차세대 연료, 온실가스 감축 대책 등에 주력하고 있다. 한국해양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에 그린에너지 센터를 운영, 다수의 정부 및 민간 LNG및 해양프로젝트를 수행하고 한국해양수산개발원과 함께 “한국-인도네시아” 및 “한국-스페인 산업협력 프로젝트 개발”을 수행했다. |
![]() |
[토론자]
류민철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류민철 PD는 대우조선해양㈜에서 29년 이상 선박, 특수선 및 해양플랜트 관련 연구개발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올해 5월부터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에서 조선해양 PD로 재직 중이고, 조선해양산업 발전을 위한 R&D를 기획하는 업무를 수행 중에 있다. 류민철 PD는 대한조선학회 정회원이며, 학회 산하 선박해양 프로세스시스템 연구회 발족을 추진하였으며, ‘22년 한국에서 개최 예정인 World Gas Conference 국내 준비위원으로 International Gas Union R&D Committee 멤버로도 참여하고 있다. |
|
[토론자]
황일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석좌교수 황일순 석좌교수는 서울대학교 원자력공학 학사, KAIST 기계공학 석사, MIT 핵재료공학 박사학위 후, MIT의 연구과학자, 초빙 부교수, 서울대학교 교수로서 소형 원전, 원자력 재료, 핵변환 연구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현재 울산과학기술원울산과학기술원에서 미래 원자력으로 급부상 중인 제4세대 첨단 조선-해양용 형원전의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원자력안전전문위원 및 원전 수명관리 전문가로 활약하였으며, 현재 세계원전수명관리학회 IFRAM) 회장을 맡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