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도시 네트워크 | 그린스마트 해양도시로의 항해 |
---|---|
일시 | 10.27(수) 오전 10:00~12:00 |
장소 | 세계해양포럼 공식홈페이지 및 유튜브 생중계 |
![]() |
[좌장]
김종덕 한국해양수산개발원 (KMI) 원장직무대행 김종덕 박사는 현재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원장직무대행으로 재직하고 있다. 북태평양을 포함한 북극 정책 연구 프로그램 등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의 여러 전략 및 연구부서의 책임자를 역임했으며 연안 및 해양 정책, 국제 해양 환경에 대한 여러 국가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서울대 학사, 석사를 거쳐 니혼대에서 해양건축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
![]() |
[발표자]
동아시아 기반으로 한 회복력 있고, 포용적이며, 지속가능한 블루 이코노미로의 전환: 동아시아 해양환경협력기구(PEMSEA) 경험이 주는 교훈 에이미 곤잘레스 해양환경관리협력기구 (PEMSEA) 사무국장 에이미 곤잘레스는 현재 동아시아해양환경관리협력기구(PEMSEA)의 협의체 사무국장에 임하고 있다. 또한 곤잘레스는 20년 넘게 세계자연기금(WWF International)에서 지속가능한 해양 및 수산업 거버넌스와 정책 재편을 위한 분석과 다양한 활동을 수행했다. 세계자연기금 이전에는 필리핀 환경 및 천연자원부에서 총 2명의 장관의 수석 보좌관에 임한 바 있다. 곤잘레스는 런던경제대학교에서 환경평가 및 교육 석사학위, 싱가포르국립대학교에서 공공정책 석사학위를 받았다. |
![]() |
[발표자]
블루스마트해양 건설 추진을 위한 닝보의 아이디어 및 계획 왕샤오찡 중국 닝보시 해양연구원 전략기획실장 항저우 과학기술대학교를 졸업한 왕 샤오징 박사(1982)는 닝보 해양학연구소에 전략기획부서장으로 연이어 활동하고 있다. 현재 닝보 해양경제전략기획 연구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닝보해양경제개발 14차 5개년계획, 닝보해양경제 혁신개발을 위한 국가시범도시 연구, 닝보-저우산항 항만형 국가물류허브 연구, 닝보물류산업개발의 14차 5개년 계획 등의 다양한 연구를 담당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논문 <물류학의 핵심개념과 기본이론>을 발표했으며, 이외에도 중국 경영학회지, 시스템&경영학회지, 시스템공학회지에 20편 이상의 학술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
![]() |
[발표자]
부산의 동북아 그린스마트 해양수도 비전 장하용 부산연구원(BDI) 연구위원 장하용 연구위원은 현재 부산시 산하 종합정책연구기관인 부산연구원(BDI)에서 해양수도 부산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해양정책연구를 수행 중인 연구위원이다. 장하용 연구위원은 세계해양포럼의 기획위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부산광역시 크루즈산업발전위원회 위원, 부산항건설사무소 기술자문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특히,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전문위원, 외교부 제2차 북극써클회의 대한민국 대표단, 부산광역시 유라시아-부산 원정대 등 다양한 해양분야에서 활동하였다. |
![]() |
[토론자]
박병주 경남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장 박병주 연구위원은 2008년부터 현재까지 경남연구원에서 근무하며 항만·물류분야, 4차산업 관련 분야 정책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경남연구원에서 스마트도시교통연구실장을 맡고 있으며, 2019년부터 경상남도가 경남연구원에 설치한 동북아항만물류연구센터의 센터장으로 부산항 신항을 통한 지역경제활성화 방안 등을 연구하고 있다. 그는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조합위원, (재)경남지역사업평가단 이사이고, 경상남도 경제혁신추진위원회 위원, 경상남도 항만정책심의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
![]() |
[토론자]
오재룡 해양환경관리협력기구(PEMSEA) 기술세션 의장 오재룡 박사는 동 기관 국제협력부의 자문위원, 국립경상대학교 해양환경공학과 초빙교수로 활동 중에 있다. 2019년 부터는 PEMSEA 기술분과(Technical Session)의 의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해양환경연구소 해양환경연구실 실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시료도서관 관장 등을 역임했으며 유류오염, 지속성 유기물질 오염과 관련된 연구 과제들을 수행했다. 2003년에는 APEC 해양환경교육훈련센터(AMETEC)를 설립하여 아태지역 개도국 전문가들의 해양환경보전 능력 배양에 힘써왔다. |
|
[토론자]
정수현 창원시정연구원 연구위원 정수현 박사는 한국해양대학교에서 물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창원시 산하 정책연구기관인 창원시정연구원에서 창원항만물류연구센터를 총괄하면서 다양한 창원시 항만·물류분야 관련 연구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그의 주요 연구분야는 항만·물류정책, 항만 거버넌스, 수리통계학 및 방법론이다. 최근 그는 친환경 항만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어, 2021년에 Prioritizing environmental justice in the port hinterland policy: Case of Busan New Port( Research in Transportation Business and Management, 2021)이라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그 외에도 다양한 주제와 방법론을 바탕으로 여러 논문을 발표하였다. |
|
[토론자]
조삼현 동의대학교 유통물류학과 교수 조삼현교수는 한국해양대학교에서 해운경영학(복합운송물류)를 전공하였으며, 현대상선 및 중국 현통 해운집단의 한국지사장으로 근무하였으며 박사학위 취득 후 (재)부산연구원 및 한국철도공사 철도연구원에서 동북아물류 및 남북철도와 대륙횡단철도 관련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는 현재 동의대학교 유통물류학과에서 국제물류 관련 강의와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동의대학교 유통물류연구소 소장, 사)신남북방해운경제연구소장, 부산광역시 물류정책위원, 부산광역시 남북교류협력위원, 부산항만공사 해외사업리스크관리 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