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세션 2 | [해양수산 ODA] l 해양 ODA 확대와 도시외교 활용 전략 |
---|---|
일시 | 10.28(수) 13:30~15:45 |
장소 | WOF 공식 홈페이지(wof.kr)를 통한 온라인 참관 |
[좌장]
박 광순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제주연구소장 박광순 박사(1955년생)는 현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주연구소 소장직을 맡고 있다. 부산수산대학(현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에서 연안공학을 전공하였고, 1993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6년에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 입소한 이래 30년 이상을 연안재해 대응기술 연구분야의 중•대형 연구과제에서 연구책임자 또는 참여연구원으로서 임무 지향적, 목적 지향적 연구수행에 전념해 왔다. 특히 긴급한 국가현안문제 해결의 지원을 위한 운용해양예보시스템의 개발 및 구축에 전념하였고, 2009년부터 2018년 기간 동안에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성공적으로 한국에서의 운용해양예보시스템 KOOS를 개발하여 실용화하였다. 본 연구사업은 2015년도에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었다. KOOS 시스템은 국가기 관 및 산업체에 기술 이전되어 활용되고 있고, 또한 ODA 사업을 통해 콜롬비아와 베트남에 KOOS 기술이 이전되고 있다. 2015년 7월부터 2016년 7월까지 KIOST의 부원장직을 역임하였다. 2010년 5월부터 2012년 5월까지 한중공동해양 연구센터 소장직을 역임하였고, 한중 양국의 공통관심사인 연안재해 저감기술의 공동연구를 통해 실제적인 연구성과를 도출하였다. IOC/WESTPAC의 NEAR-GOOS 조정위원회 한국 측 대표(2004-2008)로 활동하면서 동북아 해양관측 시스템의 구축 및 해양예보시스템의 개발에 기여해 왔다. 현재 한국, 중국, 러시아 그리고 일본이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는 NEAR-GOOS 해양예보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워킹그룹의 리더 역할을 맡고 있다. |
|
![]() |
[기조연설]
최 인호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 최인호 국회의원(1966년생)은 부산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을(2001), 부산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외교학과 박사과정(2010)을 수료하였다. 부산대학교 총학생회장(1988)을 거쳤고, 2005년과 2006년에는 청와대 부대변인과 국내언론비서관으로 근무하였다. 부산 사하구 갑에 지역구를 둔 재선 국회의원(제20, 21대)이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 위원이다.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과 부산시당위원장을 지냈으며 현재는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을 맡고 있다. |
[발표자]
지속가능한 해양 성장과 개발을 위한 협력 아르니 마티센 유엔식량농업기구(FAO) 부사무총장 해양특보 아르니 마티센은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1958년 10월 2일에 태어났다. 1983년에 에딘버러대학교에서 수의학 학사과정을 밟아 수의사 자격증을 취득했고, 1985년에 스털링대학교에서 어류병리학 석사과정을 받아 수생동물 수의사 자격증을 취득했다. 아르니는 공부를 마치고 아이슬란드의 여러 지역에서 수의사로 활동했고, 1985년부터 1995년까지 어류 질병 수의관으로 활동했다. 또한 1988년부터 1989년까지 양식기업 팍살락스(Faxalax hf)의 상무이사로 근무했다. 아르니는 1991년 당시 33세 최연소의 나이로 독립당을 대표하여 의회 의원으로 선출됐다. 1999년 5월엔 내각 장관이 되었고, 2009년 봄에 진행된 재선에는 출마하지 않았다. 아르니는 1999년 5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수산부 장관을 역임하며, 수산 정책, 어획쿼터의 할당, 감시, 집행, 처리, 연구개발, 해양 양식, 수산식품안전 및 국제협약관리 등을 담당했다. 또한 2004년에는 내각 예산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아르니는 2005년 9 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재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국가 예산, 세금 정책, 세금 징수 및 세수 예측, 경기 예측, 연금, 공공 자산 및 공공 부문의 임금 인상률 결정 등을 담당했다. 이후에 내각 예산위원회 위원과 기후변화 내각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했다. 아르니는 2010년 10월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유엔세계식량농업기구(FAO)에 사무총장보 겸 수산양식국의 국장으로 합류했다. 또한 2020년 1월부터 유엔세계식량농업기구에서 해양특별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
|
![]() |
[발표자]
한국의 ODA 추진전략 및 해양수산 분야의 제언 한 덕훈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국제협력ODA센터장 한덕훈 박사(1970년생)은 고려대학교 법학과(1995년) 및 동 대학원에서 상법, 국제거래법(2003년)을 전공하고, 미국 인디애나대 로스쿨, 캔자스대 로스쿨(2007년)에서 법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변호사 자격 취득 후 UCLA대 로스쿨에서 방문학자로 근무하고, L.A.소재 O’MELVENY & MYERS, LLP 법률사무소에서 국제거래법, 국제법, 독점규제법 등 업무를 수행하였다. 2011년부터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해양수산 개발협력 업무와 IUU등 국제규범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최근 주요한 연구주제는 우리나라 해양수산 ODA 효율적 확대 방안과 SDGs 달성방안, 내외국인 어선원 노동자의 안전 및 권리 제고 방안이다. |
![]() |
[발표자]
미얀마의 지속가능한 블루 이코노미를 위한 ODA 유상원조 및 전략 웨이 린 마웅 미얀마 수산청 청장 웨이린 마웅은 미얀마의 수산분야의 관리를 담당하는 책임자인 농축산관계부 수산국 국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1963년 3월 13일 생으로 1986년 국방사관학교를 졸업했다. 미얀마 농축산관계부 수산국에 부임하기 전, 미얀마 육군 중령(사령관), 수산국 소장, 축산수의국 부국장 등으로 여러 공무를 맡아 왔다. 현재 미얀마 수산분야의 발전을 위해 2020년 3월 4일에 수산국장으로 임명됐다. 미얀마 수산국은 수산 관리, 양식업, 수산물의 어획 후 관리 및 가공, 연구개발 등과 같은 수산분야의 관리를 담당한다. 또한 관련 법규에 따라 수산물 관련 프로젝트 관리와 계획도 담당한다. 뿐만 아니라 미얀마 수산국은 미얀마 해역에 외국어선 금지, 조업 금지기간 및 구역을 규정, 남획 및 과잉어획능력의 금지, 어선위치추적장치(VMS)을 이용한 불법·비보고·비규제(IUU) 어업의 제재, 지역 어선의 신규 건조 제한, 수산분야의 관련법 개정, 이라와디 돌고래, 듀공, 바다거북 등 멸종위기종의 보전, 미얀마의 수산자원을 지속하고 지속가능한 청색경제를 강화하기 위해 어업공동관리구역을 확대하는 등의 여러 관리조치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
[토론자]
주제미정 강 형철 한국국제협력단(KOICA) 前부산사무소장 강형철소장(1961년생)은 송도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 경희대학교에서 관광경영과정(1996년)을 수료하였다. 1991년부터 한국국제협력단(KOICA) 설립과 함께 근무하며 총무팀장, 기획예산팀장, 감사실장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강형철소장은 아프가니스탄 PRT에서 1년6개월 근무하고 동티모르에서 3년간 사무소장 임무를 수행한 뒤 2017년부터 KOICA 부산사무소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현재 강형철소장은 KOICA 부산사무소에서 부산시 및 해양수산 관련 기관들과 협력하며 부산지역 ODA사업발굴에 노력하고 있다. |
|
![]() |
[토론자]
주제미정 박 종규 부산광역시 해양수도정책과장 박종규 해양수도정책과장 박종규과장(1965년생)은 동아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여 2014년 부산광역시 정책기획실 기획재정관 재정관리담당관 공기업을 담당하였다. 이후 같은 해 7월 부산광역시 정책기획실 기획재정관 재정관리담당관 재정관리담당을 거쳐 다음해 2015년, 부산광역시 시정혁신본부 비전추진단 제도혁신팀장을 역임했다. 2017년, 부산광역시 기획담당관 기획조정팀장을 맡았고 2018년 8월부터 부산광역시 해양수산물류국 해양수도정책과장을 맡고 있다. |
![]() |
[토론자]
주제미정 변 경대 해양수산부 미얀마 명예해양수산관 변경 대 (1961 년생. 12. 16) 해양수산부 명예해양수산관은 부산대학교에서 국제 경제학을 전공하여 석사 과정을 이수했으며 30 년 이상 농수산물 국제 무역에 종사해 왔습니다. 약 20 년 전 미얀마에 입국하여 사업을 하고 있으며, 약 7 년 전부터 미얀마에 거주하며, 수산물 무역 및 양식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한국의 해양 수산 발전을 위해 미얀마는 물론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방글라데시와 오만, 사우디를 포함한 중동 지역까지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미얀마 어업 수출 가공 협회, 미얀마 수산청, 한 미얀마 수산 발전위원회 등에 자문을 해오고 있습니다. |
![]() |
[토론자]
주제미정 김 현영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명예연구위원 김현영 명예연구위원(1956년생)은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재무관리)을 전공하였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서 37년간 국제협력, 해양정책, 해양수산 개발협력 분야의 주요 보직 및 다수의 관련 연구과제를 수행하였다. 1994년부터 20여 년간 UNESCO/IOC, PICES 등 국제기구 정부 대표단으로 참여하였으며 중국 청도 소재 한중 해양과학 공동 연구센터 부소장으로 재직하였다. 김현영 명예연구위원은 해양수산부 자문 기관인 해양수산 ODA 네트워크 사무국장으로 최근에는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등 개도국을 대상으로 한 해양수산 분야 ODA 사업 발굴 및 기획에 참여하고 있다. [토론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