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열기
세션정보
정규세션5 [에필로그] 미래의 축적과 세계해양
일시 11.01(금) 17:15~18:00
장소 파라다이스호텔 부산 본관2층 그랜드볼룸
연사정보
[좌장]  

김 현겸
세계해양포럼 / (사)대한민국해양연맹 / 팬스타그룹
기획위원장 / 총재 / 대표
김현겸 회장(1961년생)은 성균관대학교에서 토목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무역학 석•박사를 거쳤다.
김현겸 회장은 코스닥 상장기업인 (주)팬스타엔터프라이즈를 비롯해 (주)팬스타라인닷컴, 일본 현지법인 (주)산스타라인 등 8개 계열사로 이루어진 팬스타그룹의 설립자 회장이자 대한민국해양연맹 총재이다.
김현겸 회장은 부산항만공사 항만위원, 한국해운조합 대의원, 한국무역학회 부회장, KBS 시청자위원회 위원장, 제 8대 대한민국해양연맹 총재를 역임하였고, 현재 9대 대한민국해양연맹 총재, 한국해양산업협회 공동 이사장, 세계해양포럼 기획위원장을 겸하고 있다.
[발표자]  

아지즈 바카스
네덜란드 바카스 트렌드 오피스
트렌드와처
아즈지 바카스(1963)는 미래학자입니다. 그는 아시아(인도), 라틴 아메리카(수리남), 유럽(네덜란드)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 뿌리를 완벽하게 사용 ’합니다. 그는 '매우 중요한 트렌드 워처 '이며, '이야기를 잘할 수 있는 사람 ', '매우 고무적인 사람 '입니다. 아즈지는 우리의 미래를 바꾸는 메가 트렌드에 관한 책 100만부를 판매하였습니다.
그는 매년 150번의 연설을 합니다. 지난 몇 년간의 연설은 로테르담 항구, 쉘, 삼성, 애플, IBM, 에어 프랑스-KLM, 슈퍼마켓 체인인 에이홀드 데하이즈, JP모건 은행, 에어버스 및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에서 진행하였습니다.
그는 인기가 굉장히 많은 연사입니다. 최근 일본, 스페인, 프랑스, 나이지리아에서 연설을 했으며, 곧 태국에서 연설할 예정입니다. 또한, 쉘(Shell)에 따르면, 지금까지 쉘이 계약한 연사 중, 최고의 연사3위에 선정되었습니다.
'슬로우벌라이제션(slowbalisation)'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냈으며, 연설을 담은 혁신적인 동영상과 활기 넘치고 에너제틱하며, 유머러스한 그의 발표는 찬사를 받고 있습니다.
최신 저서로는 ‘새로운 르네상스’가 있습니다. 그의 홈페이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www.bakas.nl)
[발표자]  

박 광열
한국해양진흥공사(KOBC)
혁신경영본부장
박광열 본부장(1963년생)은 경기대 행정학과를 거쳐 영국 웨일즈대학에서 해양정책학 석사학위 취득 및 국제교통학을 수료하였다.
1990년 제34회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30년간 해양수산 행정에 몸담아 해양수산부 대변인, 인천지방해양수산청장, 해사안전국장, 부산지방해양수산청장을 거쳤다.
현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해운산업의 성장을 위하여 2018년도에 설립한 한국해양진흥공사의 경영기획본부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발표자]  

이 상고
세계수산대학(WFU) / 부경대학교
원장 / 교수
이상고 교수(1956년생)는 국립부산수산대학교에서 수산경제학을, 미국 Rhode Island 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해양자원경제학(1991)을 전공하였다. 1992년 이후 현재 부경대학교 해양수산경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강의 분야는 해양Bio경제학, 어업관리론, 환경어업론이며, 수산자원회복의 생물경제적 연구와 불법어업에 대한 경제학적 연구 등 150여편의 수산사회과학 분야의 논문과 해양Bio경제학과 환경어업론 등 다수의 학술전문서를 출간하였다. 최근의 연구 분야는 주로 기후변화에 대응한 자원 및 어업관리와 해양Bio경제학의 어업생산경제학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정립에 매진하고 있다.
전문경력으로는 부경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교내의 학과장, 부학장, 부원장, 종합인력개발원 원장, 해양박물관 관장 등 대학의 주요 보직을 수행하였다. 교외적으로 해양수산부의 자문교수 및 각종 정책위원회에 참여하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OECD 수산위원회와 FAO 수산위원회 부의장을 다년간 역임하였다. 2017년부터 FAO 세계수산대학 시범사업 대학원 원장직을 맡아 정부의 세계수산대학 설립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발표자]  

이 동현
평택대학교
무역물류학과 교수
이동현 교수(1964년생)는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시애틀에 있는 워싱턴주립대학에서 해양정책학 석사를 취득하였으며, GTTL(Global Trade,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과정을 수료하였다. 서울대학교에서 정책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1년 부산일보 기자로 입사하여 서울정치팀장, 서울경제팀장 등으로 근무하였다. 특히 이 기간 중 해양수산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된 것이 계기가 되어 해양수산 분야에서 학업을 계속하게 되었다. 2010년부터 평택대학교 국제물류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기자 시절 <세계의 허브를 꿈꾸는 한반도>라는 책을 집필하여 한국의 항만정책을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해운, 항만, 물류, 해사안전, 수산 등 해양수산의 모든 분야에서 연구활동을 수행하였다. 학문적 관심사는 해운, 항만, 물류, 해사안전, 수산 분야에서 국내외 정책을 분석 및 평가하고, 이들 정책에 대한 이론을 수립하는 데 모아져 있다.
평택대학교와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공동으로 설립한 KMI-PTU 환황해권해양물류연구센터의 센터장으로 활동하면서, 환황해권 지역의 해운, 항만, 물류 분야의 이슈를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2년전부터는 평택대학교 링크플러스사업단장을 맡아 스마트물류 등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인재 양성에 노력하고 있다.
[발표자]  

이 제명
부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이제명교수는 1999 년 동경대학교에서 선박해양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부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정교수 로 재직하고 있다 LNG 관련 20 년 연구경험을 바탕으로 극저온소재연구소를 설립하였으며 현재 부산대학교 수 소선박기술 센터장을 역임하고 있다 대한민국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수립 전문위원회 전문위원으로 위촉되었다 주 연구분야는 연속체손상역학 유한요소해석 재료 비선형거동 및 시뮬레이션 기반 설계이며 해당 분야의 연구를 활발히 수행한 공을 인정받아 SCI 급 저널인 Ocean Engineering 부편집장 및 Metals 부 편집장에 선임되었다. 극저온 저장 시스템 , 성능개선 단열소재 개발 재료 및 구조물 파손 예측을 위한 전산해석 기법 개발등 다양한 연구 과제를 다수 수행하였다.
[발표자]  

장 하용
부산연구원(BDI)
해양항만정책 공학박사
장하용 연구위원(1977년생)은 현재 부산시 산하 종합정책연구기관인 부산연구원(BDI)에서 해양수도 부산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해양정책연구를 수행 중인 연구위원이다.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경찰학과에서 학사학위(2000년)와 석사학위를(2002년) 취득하였으며, 동대학 메카트로닉스공학에서 해양산업분야 박사학위(2014년)를 전공한 융합연구자이다.
2014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항만연수원 부산연수원에서 주임교수를 역임하면서 스마트항만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부산광역시청 해양정책과에서 부산시 해양정책의 수립 및 집행에 참여했다.
장하용 연구위원은 세계해양포럼의 기획위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부산광역시 크루즈산업발전위원회 위원, 부산항건설사무소 기술자문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특히,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전문위원, 외교부 제2차 북극써클회의 대한민국 대표단, 부산광역시 유라시아-부산 원정대 등 다양한 해양분야에서 활동하였다.
[토론자]  

김 석현
해양환경연구센터
책임연구원
김석현 박사(1958년생)는 서울대학교에서 해양학을 전공하였으며(1982) 한양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에서 석사(1993) 및 박사학위(1997)를 취득하였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생지화학연구실장, 폐기물해양배출연구사업단장, 해양환경방사능연구센터장, 화학연구본부장 및 환경·복원연구본부장을 역임하였다. 1999년부터 2002년까지 런던협약 과학자그룹회의 및 당사국회의에 전문가로 참여하였으며, 2013-2017년 북태평양해양과학기구에서 북태평양주변 방사능의 해양환경품질 평가 워킹그룹 멤버로 활동, 2016년부터 유엔의 ‘사회경제적 측면을 포함한 전지구적 해양환경 평가 및 보고를 위한 정규절차’의 2차주기에 참여해 오고 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