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세션2 | [수산의 축적] 자원관리와 스마트양식 |
---|---|
일시 | 10.31(목) 13:30~17:00 |
장소 | 파라다이스호텔 부산 본관2층 그랜드볼룸 |
![]() |
[좌장]
이 상고 세계수산대학(WFU) / 부경대학교 원장 / 교수 이상고 교수(1956년생)는 국립부산수산대학교에서 수산경제학을, 미국 Rhode Island 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해양자원경제학(1991)을 전공하였다. 1992년 이후 현재 부경대학교 해양수산경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강의 분야는 해양Bio경제학, 어업관리론, 환경어업론이며, 수산자원회복의 생물경제적 연구와 불법어업에 대한 경제학적 연구 등 150여편의 수산사회과학 분야의 논문과 해양Bio경제학과 환경어업론 등 다수의 학술전문서를 출간하였다. 최근의 연구 분야는 주로 기후변화에 대응한 자원 및 어업관리와 해양Bio경제학의 어업생산경제학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정립에 매진하고 있다. 전문경력으로는 부경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교내의 학과장, 부학장, 부원장, 종합인력개발원 원장, 해양박물관 관장 등 대학의 주요 보직을 수행하였다. 교외적으로 해양수산부의 자문교수 및 각종 정책위원회에 참여하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OECD 수산위원회와 FAO 수산위원회 부의장을 다년간 역임하였다. 2017년부터 FAO 세계수산대학 시범사업 대학원 원장직을 맡아 정부의 세계수산대학 설립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
[발표자]
지속가능한 수산을 위한 생태계 기반 평가와 관리 장 창익 한국과학기술한림원(KAST) / 부경대학교 이학박사 / 해양생산관리시스템학부 명예교수 장창익 교수(1953년생)는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해양수산생태학(1987)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부경대학교에서 25년 동안 교수로서, 그리고 수산과학연구소장으로서 업무를 수행했다. 정부 간 국제기구인 ‘남방참다랑보존위원회 (CCSBT)’ 의장으로서 참다랑어 자원의 보존에 기여하였으며, ‘북태평양해양과학기구 (PICES)’의 수산과학위원장으로서, 한국 해양과학의 국제적 위상을 드높였다.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과 대통령자문 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 해양수산부장관 수산정책자문위원장 등 국내활동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장창익 교수는 2005년에는 한국과학기술 한림원 정회원으로 선출되어 봉사하고 있다. 박사 14명과 석사 31명(외국유학생 6명 포함)의 지도교수로서 인력 양성에 기여하였다. |
|
![]() |
[발표자]
발표자료보기
새로운 데이터 플랫폼을 구현하는 재순환 양식 시스템(RAS) 기술개발 헨리크 모텐슨 덴마크 CM아쿠아 테크놀로지 선임 컨설턴트 헨릭 모르텐슨 (학사: 경제학, 석사: 생물학 전공) 그는 30 년 이상 양식업계에 종사해 왔습니다. 어류 생리학에 대한 석사 학위 논문을 가진 생물 학자로서, 논문 넙치의 상업농장을 촉진하기 위해 넙치(Scophthalmus maximus)에 대한 에너지 예산을 설명하고, 최적의 사료 조성을 개발 내용을 담았습니다. 1980 년대 초, 북유럽에서 가장 큰 장어 양식장(Anguilla Anguilla)의 생산 및 건설 관리자로 일하면서, 양식업의 여러 방면에서 활동했으며, 이후 송어와 연어를 위한 최초의 상업적 건조 사료를 개발한 어류 사료 회사인 EWOS의 제품 관리자로 일했습니다. 수년 동안 양식업자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은 그는 양식어장에서 실무 경험을 많이 쌓았으며, 실케보르 지역에 있는 양식 센터에서 컨설턴트와 고등학교 수준의 교사로 근무했습니다. 그는 덴마크에서 최초의 재순환 연어 양식장을 설계하여 덴마크에서 가장 큰 하천 시스템을 재보충하기 위한 치어 및 2년생 연어를 공급합니다. 항상 재순환이 보다 광범위한 기술이 될 것이라고 믿었지만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어류 생산 방식으로 인정받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현재 그 지점에 도달했으며, 이 기술 분야에 깊이 활동한 사람으로서 스웨덴의 하이드로테크사에서 일한 후, 유능한 엔지니어 커트 칼센과 함께 CMAQUA Technologies를 설립하였습니다. 커트 칼센과 함께 재순환 양식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인 가장 경제적인 방식으로 입자 관리를 보장하는 HEX 드럼 필터를 개발했습니다. 이 회사는 매우 성공하였으며,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RAS) 업체의 교과서 같은 존재로 부상하였습니다. CMAQUA Technologies는 현재 독일의 Ratz Polymer Technik과 합병되었으며, 독일에 5000m2의 새로운 생산 시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많은 양어장이 고가의 바다 물고기와 새우를 생산함으로 공장은 특히 내식성을 목적으로 개발된 수처리 장비인 ‘HEX 드럼필터’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덴마크양식학회(Danish aquaculture society)의 공동 창립자이며, 현재 Aquacircle의 위원회의 위원입니다. |
![]() |
[발표자]
발표자료보기
양식업의 산업화 한 정호 에프엔에스 주식회사 대표이사 한정호 대표이사(1962년생)는 제주 대학교에서 어업학을, 제주대학교 대학원 에너지화학공학(2019)을 박사과정을 전공하고있다. 아쿠아엔지니어링, 축협중앙회, 오조니아, 엔엔티시스템즈에서 근무하였으며, 축협중앙회 시설단에서 6년 동안 공사감독(폐수처리 및 제어)으로 업무를 수행했다. 프랑스회사인 오조니아에서는 상 하수도 고도처리, AOP를 이용한 TOC제거공정, 난분해성물질 제거공정 업무에 약 10년 동안 기술이사로 재직하였으며, 현재 에프엔에스 (주) 대표이사로서 RAS설계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을 이용한 용수정화시스템을 보급하고 있으며 이스라엘 ATLANTIUM(해수 중압식 자외선 멸균장치), 미국의 AST(BEAD FLITER), 영국의 IAT LTD(RAS ENGINNERING), 네덜란드의 SEAFARM(RAS ENGINNERING& FARMING), 덴마크 CM Aqua(수처리 기자재)와 함께 스마트 양식장 설계 보급을 위하여 전렴하고 있다. 에프엔에스 한정호 대표는, 기타 다양한 기관에서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태국, 페루, 베트남등에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의 AAT(ASINA ACADEMY OF AQUARIUM TECHNOLOGY)의 컨설턴트 멤버이며, 또한, 제주도 해양수산기술원 수산기술분야 외부 강사로서 활동하고 있다. |
![]() |
[발표자]
발표자료보기
스마트 양식 – 순환여과양식시스템(RAS)기술을 이용한 지속가능성 실천 티머시 존 파이퍼 미국 아쿠아컬처 시스템 테크놀로지 연구팀장 1958년생인 파이퍼 박사는 루이지애나 주립대 농업 공학부 농업▪생물공학 박사 학위 (1997년)를 취득했으며, 오번대학 양식학 석사 학위(MSc)를 오리건주립대 해양 생물학 학사 학위(BSc)를 취득했습니다. 1982년 네팔에서 미국평화봉사단(Peace Corps) 어업 자원 봉사자로 양식업 경력을 시작했으며, 네팔 시골 어업 농가에 대한 정부의 치어 공급을 보충하기 위해 여러 잉어 양식장을 설립했습니다. 미국으로 돌아와 미국해양수산청에서 관측자 직책을 맡았으며 시애틀에 정착하였다가 명태 및 연어 해외 어업 산업을 위해 일본 트롤선(저인망 어선)과 가공선에서 3 년을 해외에서 보냈습니다. 이러한 업무를 마치고 오번으로 이주하여 수질, 지중양식 건설, 어류 영양에 중점을 둔 양식학 석사 학위를 마쳤으며, 졸업 후에 미국평화봉사단과 기술 트레이너로 계약을 맺어 서아프리카 라이베리아 및 시에라리온에서 티필리아 지중양식과 번식에 대한 교육을 어업 자원봉사자에 진행하였습니다. 다시 미국으로 돌아와 양식 공학 분야의 박사 학위를 받기 위해 학업을 이어나갔으며, 논문 연구로 통합 조류▪조개류 종자생산시스템의 컴퓨터 제어에 중점을 두어 작성하였습니다. 메릴랜드의 굴 부화장에서 박사후연구원 생활을 짧게 한 후, 미국농무부(USDA) 산하 농업연구청 양식업 연구 엔지니어로15년간의 경력을 시작했습니다. 미국농무부 지속가능 해양양식업 시스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상업적 생산을 위한 여러 해양 어류종을 평가하는 복제 로우 헤드 및 하이 헤드 RAS 장치를 만들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지원이 2011년에 종료되어 미국농무부 산하 해외농업청의 수자원 관리직을 맡고 다양한 관개 및 수자원 관련 프로젝트를 위해 아프가니스탄에서 13개월 동안 근무하였습니다. 미국으로 돌아와 AST(Aquaculture System Technology)사에서 일하기 시작했으며, 제품 개발 자금으로 1백만 달러 지원받았습니다. 현재 파이퍼 박사는 다양한 양식 및 관개 프로젝트에 대한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제주도에서 FINS사와 넙치 RAS의 개념 설계를 위해 프로젝트 진행, 미국국제개발처(USAID)와 남부 이집트의 사막토지개간의 점적 관개를 위한 미래 프로젝트 지원, 텍사스의 대서양붉은볼락(Redfish) 양식장을 위한 RAS 장치 업그레이드, 아이오와의 500백만톤 틸라피아 RAS 시설 설계 및 구현 등을 진행하였습니다. 최근에는 RAS 황서 저자이자 코넬대학교 엔지니어링 동료인 마이클 팀몬스 박사와 함께 플로리다 베로비치의 바다어류 양식장을 설립하였습니다. |
![]() |
[토론자]
이 춘우 부경대학교 해양생산시스템관리학부 교수 이춘우 교수(1957년생)는 부경대학교에서 어업학을(1982년) 전공하여 동대학 수산물리학과 수산학석사(1986)를 , 일본 북해도대학에서 수산학연구과 수산학박사(1991)를 취득하였다. 국립수산진흥원에서 수산연구관으로 약 3년간 근무하였으며, 1995년부터 부경대학교 해양생산관리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동대학 수산과학대학 학장을 역임하였고, 저탄소해양생산기술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이춘우 교수는 해양수산진흥원,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자문위원 및 농림수산식품부 기술위원과 부경대학교 특성화사업 스마트 해양수산융합 미래인력 양성사업단 단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한국수산과학총연합회,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의 회장이며 대통령 직속 농어업농어촌 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고, 국무총리실 세월호 참사 배상 및 보상 심의위원, 해양수산부 정책자문위원회 수산분과위원장을 맡고 있다. |
![]() |
[토론자]
정 성주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교수 정성주 교수(1970년생)는 부경대학교 어병학과를 졸업 후 (1992년), 일본 미에 대학교에서 어병학 전공으로 석박사를 취득하였다 (1997.7). 박사과정 졸업 후 일본 코치대학에서 조수로 1년간 근무하다가 1998년 9월부터 현재까지 전남대학교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양식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질병을 연구하고 있으며 질병의 발생에 관여하는 수온을 비롯한 환경인자의 조절과 백신개발에 관심이 있다. 현재 전남대학교 스마트양식 인력양성사업단 내에서 스마트헬스케어로 양식어류의 질병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질병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정성주 교수는 한국어병학회의 총무를 맡고 있으며 해양수산부, 전라남도 및 여수시의 다양한 수산해양 관련 위원회의 위원을 맡고 있다. |